작성일 2016.11.28 조회수 906
부론면-우리면소개 > 지명유래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제공
단강리(丹江里)
작성자 관리자
[위치]
단강리는 면소재지의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귀래면 용암리, 서쪽은 남한강변과 정산리, 남쪽은 충주시 소태면 덕은리, 북쪽은 손곡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유래]
남한강은 홍수가 자주 있어 홍수가 나면 붉은 물이 흐르게 되므로 '붉은 강'을 한자로 이름하여 '단강'이라 했다고 한다. 지금은 충주댐을 막아 홍수가 적어졌다.

[연혁]
원래 조선시대 원주목 부론면 지역으로 본일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세포, 단정, 작실, 도평, 평촌, 부론동, 사기막, 조귀농을 병합하여 단강리라 하였다.

[특이사항]
단강리의 끝정자(端亭)라는 지명은 단종이 영월로 유배가는 길에 쉬어 갔다고 하여 생긴 것이라고 한다. 또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은 왜적을 막아 싸우는 것이 아니라 조선의 명산 혈기를 끊어 놓기에 혈안이 되었다고 하는데 옥녀봉이 천하명당이라 혈기를 끊으려고 노력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 하고 결국 포기하였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라고도 한다.

[지명]
▲가느개 [마을] → 가늣개

▲가늘개 [마을] → 가늣개

▲가늣개 [마을]
[위치] 단강 2리 4반, 벌말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가느개, 가르개, 가늘개, 세포(細浦), 길현동이라고도 한다.
[유래] 가는 냇물이 흐른다고 하여 불리워졌으나 지금 냇물을 볼 수는 없다. '가늣'은 가늘다(細)에서 나온 말이고 '개'는 浦의 뜻이므로 '가늣개'는 좁은 내의 뜻이다.

▲가늣개들 [들]
[위치] 가늣개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가늣들보 [보]
[위치] 벌말 밑에 있는 보를 말한다. 가늣개들에 물을 댄다.

▲가르개 [마을] → 가늣개

▲감골 [골]
[위치] 아래작실에서 음촌으로 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건너골 [골]
[위치] 아랫사기막 동쪽 건너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구라골 [골]
[위치] 탄가마골 북쪽 골짜기를 말한다.

▲길현동 [마을] → 가늣개

▲끝정자 [마을]
[위치] 단강리 북쪽, 단강초등학교 남쪽마을을 말한다. 단정(端亭)이라고도 한다.
[유래] → [전설]
[특이사항] 끝정자 나무가 있다.

▲끝정자나무 [나무]
[위치] 끝정자 마을에 있는 느티나무를 말한다.
[특이사항] 조선 제6대 단종(端宗)이 숙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겨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로 쫓겨 갈 때 이 나무 아래에서 쉬어 갔다고 한다.

▲끝정자못 [못]
[위치] 끝정자 앞에 있는 못을 말한다.

▲느네미골1 [골]
[위치] 구라골에서 서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느네미골2 [골]
[위치] 산골 동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능골 [골]
[위치] 섬뜰 뒷 골짜기를 말한다.
[풀이] 능골은 능이 있다해서 붙여지지만 이곳에 능은 없다.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능골은 대체로 능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늘어진', '느러진'과 같은 뜻인 '늘'의 관형사형 '는'이 결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는+골>는골>능골'로 되었다. 즉 길게 늘어진 골짜기라는 뜻이다.

▲능골못 [못]
[위치] 능골 앞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능안고개 [고개]
[위치] 사기막에서 귀래면 주포리 능안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능안재골 [골]
[위치] 능안고개가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단강교회 [교회]
[위치] 단강 1리에 있는 감리교 교회를 말한다.

▲단강교 [다리]
[위치] 하부론동에 있다. 덕은개울을 건너는 다리를 말한다.

▲단강 보건진료소 [행정]
[위치] 부론면 단강 1리 294-1번지에 있다.

▲단강 양수장 [시설]
[위치] 단강 1리 남한강에 있는 양수시설을 말한다.

▲단강천 [내]
[위치] 귀래면 주포리, 용암리를 거쳐 벌말, 가늣개, 조구랭이 앞을 지나 남한강으로 들어가는 내를 말한다.

▲단강초등학교 [학교]
[위치] 단강 1리 1387번지에 있다.
[내용] 1933년에 흥호공립보통학교 부설 단강간이학교로 개교하여 1942년에 단강국민학교로 승격하였다. 1969년 전산분교장을 설립하였다. 현재 3학급에 약 30명의 학생이 있다.

▲단정(端亭) [마을]
[위치] 끝정자가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1] 단종이 영월로 유배가는 길에 쉬어갔다고 해서 단정이라고 한다.
[유래2] 평해사람인 문정 선생이 정자를 지으며 다녔는데 일생에 15번째로 마지막 정자를 이곳에 지었다고 해서 단정이라 한다. → [전설]

▲단정 저수지 [못]
[위치] 단강 1리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달밭골 [골]
[위치] 토깨이목골 북쪽 골짜기를 말한다.

▲닷마지기골 [골]
[위치] 중간담 위에 있는 골짜기이다.
[유래] 들이 약 다섯마지기가 된다고 해서 닷마지기골이라 한다.

▲덕은개울 [내]
[위치] 봉림산에서 시작하여 사기막과 부론동을 거쳐 벌말에서 남한강에 합류하는 내를 말한다.

▲덧재 저수지 [못]
[위치] 단강 2리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도요지(陶窯址) [터] → 사기막터

▲도평(島坪) [들] → 섬들

▲독안경터골 [골]
[위치] 느내미골 북쪽 골짜기를 말한다.

▲뒷골 [골]
[위치] 웃작실 동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벌말 [마을]
[위치] 단강2리 남동쪽 벌판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평촌(坪村)이라고도 한다.
[유래] 들(벌)에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벌말이라 부른다.

▲본일리(本一里) [마을] → 단강리

▲봉림산 [산]
[위치] 귀래면 미륵산에서 뻗어 나온 산으로 높이 579m이다.

▲부놋골 [골]
[위치] 단강2리 동북쪽에 있는 긴 사기막 골짜기를 말한다. 아래부놋과 윗부놋이 있다. 부논골, 부롯골, 부론골이라고도 한다.
[유래] 부놋골은 부+놋+골인데 이는 다시 부+론+골로서 '론'은 논(畓)에서 나왔을 것이고 '부'는 ' ' 계통의 땅이름이다. ' '은 밝다는 뜻이지만 같은 계통으로 '부리, 부루, 불, 벌(坪)' 등의 파생어가 있다. 따라서 큰 논이거나 들의 논 같은 의미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예전에 이 곳에서 사기그릇을 구웠던 사기막터가 있으며, 현재 부론면의 행정명이 이곳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부논골 [마을] → 부놋골

▲부론골 [마을] → 부놋골

▲부론골 저수지 [못]
[위치] 아래부놋골 뒤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부론동(富論洞)[마을] → 부놋골

▲사기막(沙器幕) [마을]
[위치] 부놋골 윗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옛날에 사기를 구워서 사기막이라고 한다.
[특이사항] 사기막 터가 있다.

▲사기막 공동묘지 [묘]
[위치] 사기막에 있는 공동묘지를 말한다.

▲사기막교 [다리]
[위치] 사기막 앞, 201번 도로에 있다.
[내용] 길이 10m, 너비 7m로 1991년에 가설하였다.

▲사기막터 [터]
[위치] 단강 2리 아래부놋에서 현계산 쪽으로 2.5km지점에 있는 옛 사기막터를 말한다.
[특이사항] 도로변이나 전답지 등에서 도자기편 등 가마유구 등이 발견되고 있다.

▲사방산(四方山) [산]
[위치] 단강리에 있는 산을 말한다.
[유래] 산이 높아 꼭대기에서 사방이 보인다고 하여 사방산이라고 한다.

▲사이골 [골]
[위치] 사기막골에서 북서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웃부놋골 북쪽에 있다.

▲산골 [골]
[위치] 작실고개 위쪽, 솔고개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삼막골 [골]
[위치] 작은 진퇴골 남쪽의 골짜기를 말한다.

▲상부론동 [마을]
[위치] 벌말과 사기막 사이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웃부놋골이라고도 한다.
[유래] 부론동의 윗쪽이라 하여 상부론동이라 한다.

▲서지고개 [고개]
[위치] 사기막에서 손곡리 서지, 오리울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서지골 [골]
[위치] 웃사기막 북쪽 긴 골짜기를 말한다.

▲섬들 [들] [마을] → 섬뜰

▲섬들교 [다리]
[위치] 섬들 위쪽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3m, 너비 4.2m로 1970년에 가설하였다.

▲섬뜰 [들]
[위치] 섬뜰 마을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섬뜰 [마을]
[위치] 끝정자 북쪽 골짜기 입구에 있다. 도평(島坪), 섬들이라고도 한다.
[유래] 마을 양쪽으로 개울이 흘러 마치 섬처럼 되었으므로 섬들>섬뜰이라 한다.

▲섬뜰개울 [내]
[위치] 현계산에서 남으로 흘러 작실과 섬뜰을 거쳐 단강에서 남한강에 합류하는 내를 말한다.

▲섬뜰지 [못]
[위치] 단강 1리 섬뜰 위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세포(細浦) [마을] → 가늣개

▲쇠골 [골]
[위치] 큰진퇴골에 딸린 골짜기를 말한다.

▲쇠점골 [골]
[위치] 아래부놋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송암 이한민 송덕비 [비]
[위치] 단강 1리 402번지에 있다.
[내용] 1977년 5월에 세웠고 규모는 높이 115cm, 폭 40cm, 두께 18cm이다.

▲신흥교회 [교회]
[위치] 단강2리에 있는 성결교 교회를 말한다.

▲아래부놋들 [마을]
[위치] 부놋골 아랫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하부론동이라고 한다.

▲아래사기막 [마을]
[위치] 사기막 아래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아래작실 [마을]
[위치] 작실과 웃작실 사이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염태고개 [고개]
[위치] 단강에서 북서쪽으로 정산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염태뜰 [들]
[위치] 끝정자 북쪽에 있는 20여 정보의 들을 말한다. 염터뜰이라고도 한다.

▲염터뜰 [들] → 염태뜰

▲염태저수지 [못]
[위치] 단강 1리 염태뜰 중앙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영정각(影幀閣) [당]
[위치] 작실마을 도로변 약 50m에 있다.
[유래] 송곡 이서우(松谷 李瑞雨, 1633∼?)를 봉안한 사당이다.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숙종대라고 알려져 있다. 영정각은 정문과 사당으로 되어 있고 1700년대에 건립된 것을 1968년에 개축하였다.

▲웃부놋골 [마을]
[위치] 부놋골 윗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사기막 아래에 있다. 상부론동이라고 한다.

▲웃작실 [마을]
[위치] 작실고개 밑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육리봉 [산]
[위치] 봉림산 남쪽에 있는 높이 426m의 산을 말한다.

▲임병한 송덕비 [비]
[위치] 단강 1리 403번지에 있다.
[내용] 높이 88cm, 폭 32cm, 두께 11cm이다. 교장 임병한의 송덕비로 1971년에 세워졌다.

▲자작나무골 [골]
[위치] 느네미골 동쪽으로 이어진 골짜기를 말한다.

▲자장골 [골]
[위치] 층층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작실(作室) [마을]
[위치] 단강리 끝인 섬들 북동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작실, 아래작실, 웃작실이 있다.
[유래] 하천의 운반작용으로 마을 어귀에 자갈을 쌓아 놓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특이사항] 옛날에 재물을 보관했던 창고가 있었던 것 같다.
[풀이] 작(小)+실(谷)>작실이 되었다. 작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작실고개 [고개]
[위치] 웃작실 위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작실에서 샘골, 중간말, 거돈사지의 담안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작실교 [다리]
[위치] 작실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24m, 너비 9m로 1995년에 가설하였다.

▲작은부놋골 [골]
[위치] 웃부놋골에서 서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작은진퇴골 [골]
[위치] 큰진퇴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웃사기막 동쪽 골짜기이다.

▲잠방교 [다리]
[위치] 조구랭이와 가늣개 사이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잠뱅이골 [골]
[위치] 잠방교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조구랭이 [마을]
[위치] 벌말과 끝정자 사이 강변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조기동, 조귀동(早歸洞), 조귀농(早歸農)이라고도 한다.
[유래] 작실과 함께 하천의 퇴적물로 형성된 지형이 마치 돌을 일어내는 조리와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특이사항] 남한강과 단강천의 합수지점으로 경관이 좋다.

▲조구랭이들 [들]
[위치] 조구랭이 앞에 있는 약 50여 정보의 들을 말한다.

▲조구랭이보 [보]
[위치] 조구랭이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조귀농(早歸農) [마을] → 조구랭이

▲조귀동(早歸洞) [마을] → 조구랭이

▲조기동 [마을] → 조구랭이

▲진대골 [골]
[위치] 사기막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거돈사 입구의 진대(긴돌)을 이곳에서 만들어 갔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참나무골 [골]
[위치] 산골에서 동남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층층골 [골]
[위치] 사기막 북쪽에 있다. 촉새봉으로 이어지는 골짜기이다.

▲큰자장골 [골]
[위치] 삼막골 동쪽 건너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큰진퇴골 [골]
[위치] 윗사기막에서 용암리 능안으로 넘어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토깨이목골 [골]
[위치] 참나무골에서 동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평촌(坪村) [마을] → 벌말

▲하부론동 [마을] → 아래부놋들

▲함박골 [골]
[위치] 삼막골 동쪽 골짜기를 말한다.

▲험한골 [골]
[위치] 자작나무골에서 남쪽으로 갈라진 골짜기를 말한다.

[전설]

[끝정자] [단정]
1. 노산군(魯山君)이 영월로 유배를 갈 때 여주에서 뱃길로 부론면 단강리의 단정동에 이르러 허기에 갈증까지 겹쳐서 견딜 수가 없었다. 아무리 유배길이라고는 하나 호송하는 나졸들의 처사가 너무나도 혹독하여 지나는 길에 음식을 바치는 백성들까지도 저지하였다. 더위에 땀냄새는 나고 이것이 뭉쳐져 종기가 되어 가지고 고름이 흘러도 나졸들은 약을 쓰지 못 하게 하였다. 그러다가 이 느티나무 아래에서 잠시 쉬어가게 되었는데 목이 말랐지만 나졸들은 모른 체 하고 있었다. 이 때 노산군의 행차란 것을 안 동리사람들이 하나 둘씩 모여 길가에 부복하였고 한 노파가 샘물을 떠다 바쳤다. 이곳서 한참을 쉬고 난 일행은 또 멀고 먼 영월을 향해 떠났고 노산군은 영월서 죽음을 당했다. 이러한 연고로 이곳 사람들은 동리 느티나무 밑에서나마 잠간 쉬어간 단종을 내내 잊지 못 하고 있었다. 그 후 느티나무 밑 바위에는 정자가 하나 세워졌고 정자 이름을 단정이라고 했다.
2. 정자 이름이 단정인 것은 단종왕의 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 아니라 평해 사람인 문정선생이 이 곳에 정자를 짓고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조정의 정승을 지낸 문정선생은 벼슬을 물러난 후 팔도강산을 유람하며 여생을 보냈다. 두루다니며 마음에 드는 곳마다 정자를 하나씩 짓고 다니는데 하루는 이 곳에 들렀다가 강변과 마을이 너무나 마음에 들어 정자를 짓고 내 평생 벌써 열다섯 개의 정자를 지었으니 이것으로 마지막 정자를 삼자해서 끝단(端)자를 달아 단정이라 했다고 한다.
3.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장수 이여송이 원군으로 나와 왜적을 막아 싸우기보다는 조선의 명산 혈기를 끊어 놓기에 혈안이 되었다고 한다. 당시 한강을 끼고 옥녀봉을 바라보니 천하의 명당으로 이곳에 무덤을 쓰면 가공할 만한 인물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여 사전에 그 혈을 끊어야겠다고 마음먹고 부하들에게 철침 5개와 고추가루 2가마를 가져오게 한 뒤에 강을 건너 옥녀봉으로 들어갔으나 강 건너편에서 보던 자리가 보이지 않았다. 다시 강을 건너 그 곳을 바라보니 여전히 푸른 용이 하늘로 오르는 혈이 분명하여 재차 강을 건너 이르렀으나 역시 눈에 띄지 않았다. 이여송은 하늘이 보호하는 자리라해서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도 끝정자라 불리워진다고 한다.

[인물]
[이서우(李瑞雨, 1633∼?)]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우계(羽溪), 자는 윤보(潤甫), 호는 송곡(松谷)이다.
도사(都事) 이경항(李慶恒)의 아들이며, 그의 집안은 대북계열에 속하였다. 효종 2년(1651) 생원시를 거쳐 현종 1년(1660) 성균관유생으로 과제(課製)에 장원하여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으며, 그 해에 바로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숙종 1년(1675) 문장에 재주가 있다고 하여 허목(許穆)의 추천을 받았으며, 같은 해에 正言이 되어 인조반정 이후 대북가문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청직(淸職)에 올랐다. 이후 청나라 파견 서장관, 병조참의, 함경도관찰사, 예문관제학, 황해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가 일어나자 삭출당하였으나 1697년 풀려났고, 그해 남인을 등용하는 정책을 펴던 최석정(崔錫鼎)에 의해 청백함을 인정받아 서용하라는 하교가 내려졌으나 현직에 나아가지는 못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