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16.11.28 조회수 1124
문막읍-우리읍소개 > 지명유래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제공
동화리(桐華里)
작성자 관리자
[위치]
동화리는 문막읍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흥업면, 서쪽은 건등리와 지정면, 남쪽은 건등리, 북쪽은 지정면 간현리와 접경을 이루고 있다.


[유래]
동화산 밑에 위치한 마을이라서 동화리로 하게 되었다.


[연혁]
원래 원주군 사제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분6리, 분5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화리로 부르게 되었다.


[특이사항]
동화산과 동화사에 얽힌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큰스님과 동자승, 빈대, 오동나무에 얽힌 이야기이다.


[지명]
▲개저리들 [들]
[위치] 동화골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개저리보 [보]
[위치] 동화산에서 내려오는 개울을 막고 있는 보를 말한다. 개저리들에 물을 댄다.

▲건등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34-1번지에 있다.
[내용] 1992년 4월 10일 준공된 아파트로 110세대가 있다.

▲경장교 [다리]
[위치] 경장동과 마라우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내용] 너비 7m, 길이 48m로 1971년 가설되었다.

▲곤매니들 [들]
[위치] 큰애니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괴목나무 [나무]
[위치] 작은애니 앞에 있는 느티나무로 둘레가 7미터 정도 된다.

▲굴치 [들]
[위치] 호적골 앞에 있는 메마른 들을 말한다.

▲궁골 [골]
[위치] 애안이와 노루메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김창일 묘 [묘]
[위치] 동화리 노루메 마을 민가 뒷산에 있다.
[내용] 비의 크기는 높이 144㎝, 폭 60㎝, 두께 24㎝로 갓석과 비대석을 갖추고 있으며, 재질은 화강암이다. 비신 중간부위가 절단된 것을 접합시켜 놓았다.

▲남부지소 배수지 [시설]
[위치] 동화리 산 162-3번지에 있는 배수지를 말한다.

▲남부지소 정수장 [시설]
[위치] 동화리 산 162-3번지에 있는 정수장을 말한다.

▲남산들 [들]
[위치] 매사리 서쪽, 애안이와 탑전 사이에 있는 들을 말한다.

▲남산보 [보]
[위치] 남산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노루메 [마을]
[위치] 차돌백이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장산동이라고도 한다.
[유래] 지형이 노루 모양으로 생겨서 노루메라고 한다. 메는 뫼(山)>메로 변한 것이다.

▲노루메들 [들]
[위치] 노루매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노족골 [골]
[위치] 동화산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노푸리고개 [고개]
[위치] 동화역에서 돌고개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고개가 높다고 해서 노푸리라고 한다.

▲노회신묘 [묘]
[위치] 동화 3리에 있다. 이 분묘는 원주에서 42번 국도를 따라가다가 간현쪽으로 가 는 392번 지방도로 접어드는 입구에 주유소가 있는데 이 주유소의 맞은편 도로 건너 산 위에 위치하고 있다. 묘의 뒷쪽으로는 영동고속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대안이(大岸-) [마을] → 애안이

▲댓골 [골]
[위치] 동화산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덕난(德蘭) [마을] → 덕안이
[유래] 예전에 이 지역에 난초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덕난이 [마을] → 덕안이

▲덕난이들 [들]
[위치] 덕안이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덕난이보 [보]
[위치] 덕안이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덕안이(德岸-) [마을]
[위치] 수반 북서쪽 언덕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덕난, 덕난이라고도 한다.
[유래] 둔덕 안쪽에 있다고 하여 덕안이라고 한다.

▲도야니현(都也尼峴) [고개] → 돼니고개

▲돌고개 [고개]
[위치] 동화역에서 북쪽 지정면 보통리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돌고개 [다리]
[위치] 돌고개 밑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돌고개 서낭당 [당]
[위치] 돌고개에 있던 서낭당을 말한다. 지금은 없어졌다.

▲동보6차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264-1번지에 있다.
[내용] 1993년 5월 27일 준공된 아파트로 총 274세대이다.

▲동정골 [골]
[위치] 마라우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동진동 [마을]
[위치] 노루메 북쪽 강변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동화골 [마을]
[위치] 세고개 남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동화골들 [들]
[위치] 동화골 뒤에 있는 들을 말한다.

▲동화골숲 [숲]
[위치] 동화동 앞에 숲을 말한다.

▲동화교 [다리]
[위치] 만랑포와 간현리 경장동을 잇는 다리이다.
[내용] 너비 6m, 길이 48m로 1971년에 가설되었다.

▲동화동 [마을] → 동화리

▲동화사터(桐華寺-) [터]
[위치] 동화2리 동화골에 남아 있는 절터를 말한다.
[내용] 규모가 큰 석축과 상당수의 기와편이 남아 있다. 김시습의 매월당집, 신광한의 기제집, 김부론의 매월당집, 한준겸의 문집에 동화사와 관련한 시가 전한다.

▲동화산(桐華山) [산]
[위치] 동화리 뒤에 있는 산을 말한다.
[유래] 동화사가 있어서 동화산이라고 한다.

▲동화역(桐華驛) [역]
[위치] 만랑포 옆에 있는 중앙선의 기차 정거장을 말한다.

▲동화천 [내]
[위치] 동화골 남쪽으로 길게 나 있는 내를 말한다.

▲돼니고개 [고개]
[위치] 동화리 서동쪽 흥업면 대안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돼니서당 [당]
[위치] 돼니고개에 있는 서낭당을 말한다. 지금도 남아 있다.

▲돼니골 [골]
[위치] 돼니고개 밑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마동들 [들]
[위치] 마라우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마동(馬洞) [마을] → 마라우

▲마라우 [마을]
[위치] 경장동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마동, 마현동이라고도 한다.

▲마람산 [산]
[위치] 동화산 줄기에 있는 산을 말한다.

▲마현동(馬峴洞) [마을] → 마라우

▲만낭개 [마을] → 만랑포

▲만낭개들 [들]
[위치] 만랑포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만낭개보 [보]
[위치] 만랑포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만낭개산 [산]
[위치] 만랑포 뒷산을 말한다.

▲만도기계사원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32-1번지에 있다.
[내용] 1991년 준공된 사원아파트로 총470세대이다.

▲만랑포(晩浪浦) [마을]
[위치] 동화역이 있는 마을을 말한다. 만낭개라고도 한다.
[유래] 만낭개에 섬강 나루가 있어서 만낭포>만랑포라 하였다.

▲말림골 [골]
[위치] 세고개 북서쪽, 현 원주-문막간 새로 난 도로의 골짜기를 말한다.

▲말안산 [산]
[위치] 사제말 남쪽에 있는 높이 140m의 산을 말한다.

▲매사리(梅沙里) [마을]
[위치] 차돌백이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매화락지형(梅花落地形)의 명당이 있다고 한다.
[특이사항] 3.1운동 당시 이 마을 김준기 등이 주동하여 수십명이 봉화시위를 하였던 곳이다.
매사리보 [보]
[위치] 매사리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문막중앙교회 [교회]
[위치] 동화1리 1175에 위치한 침례교 교회이다.

▲문막현진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43번지에 있다.
[내용] 1997년 준공된 아파트로 총 499세대이다.

▲박권묘 [묘]
[위치] 동화 2리 호적골 명봉산 능선 끝에 있다.
[내용] 묘역에는 묘비와 문인석 2기, 촛대 2기, 상석 등이 있으나 주변이 유실되어 우측의 문인석이 쓰러져 있다. 비석은 일부가 파손되었고, 20여년 된 소나무와 잡초에 덮여 거의 폐묘가 되었다. 묘비는 숙종 41년(1715)에 건립하였으며 이여(李 )가 지었다.

▲바깥마루들 [들]
[위치] 차돌백이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박달봉 [산]
[위치] 동화골 동쪽에 있는 높이 330m의 산을 말한다.
[내용] 흥업면 사제리 원주시생활환경사업소로 넘어가게 된다.

▲박시경묘 [묘]
[위치] 동화 2리 호적골에 있다.
[특이사항] 박시경은 박권의 부친으로 원주목사를 지냈다. 부근에 박권의 묘가 있다.

▲법흥사 [절]
[위치] 동화2리 221번지, 동화골 할미소들머리골에 있는 보문종 절을 말한다.

▲부도골 [골]
[위치] 동화산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부도가 있었기에 부도골이라 하였다.
[내용] 전에 부도가 있었는데 1910년경에 부도탑을 옮겨갔다고 한다.

▲부처골 [골]
[위치] 동화산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 부처가 있었다고 한다.

▲사제동(沙提洞) [마을] → 사제말

▲사제들 [들]
[위치] 사제말 북쪽 서곡천에 있는 들을 말한다.

▲사제말 [마을]
[위치] 경장동 남쪽, 만랑포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새잿말이라고도 한다.

▲삼도주식회사 [산업]
[위치] 동화2리 1176-1에 위치한 레미콘을 주생산품으로 하는 업체이다.

▲삼현(三峴) [골] → 세고개

▲삼형제고개 [고개]
[위치] 수내 서북쪽 사제말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새말 [마을]
[위치] 탑전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새미골 [골]
[위치] 말안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새잿들 [들] → 사제들

▲새잿말 [마을] → 사제말

▲새잿말제방 [둑]
[위치] 사제말 앞에 있는 둑을 말한다.

▲새잿보 [보]
[위치] 사제말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서한벤딕스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32-3번지에 있다.
[내용] 88세대로 1991년에 건립되었다.

▲석이바우 [바위]
[위치] 새미골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이 바위에서 석이버섯이 많이 난다고 한다.

▲성화골 [골]
[위치] 움수골 위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세고개 [고개]
[위치] 좁은목에서 만랑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시고개, 삼현이라고도 한다.
[유래] 고개가 셋이 있어서 세고개>시고개로 불린다.

▲세재동 [마을] → 사제말

▲소개들 [들]
[위치] 새말 앞 섬강가에 있는 들을 말한다.

▲소안(小岸) [마을] → 작은 대안이

▲수내(藪內) [마을] → 수반

▲수내뒷산 [산]
[위치] 수반 뒤에 있는 산을 말한다.

▲수반 [마을]
[위치] 건등산 동쪽, 동화골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숲안, 습안, 수내라고도 한다.
[유래] 울창한 숲안에 있다고 하여 숲안>숩안>수반이 되었다.

▲수반들 [들]
[위치] 수반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수반보 [보]
[위치] 수반들에 있는 보를 말한다.

▲습안 [마을] → 수반

▲시고개 [고개] → 세고개

▲시고개산 [산]
[위치] 세고개가 있는 산을 말한다.

▲신양수지주식회사 [산업]
[위치] 동화2리 369-3에 위치한 스틸로폼을 주생산품으로 하는 업체이다.

▲심로사원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44-3번지에 있다.
[내용] 1993년 준공된 심로악기 사원아파트로 50세대이다.

▲아랫말람산 [산]
[위치] 세고개 서쪽에 있는 산을 말한다.

▲아카시아나무숲 [숲]
[위치] 만낭개들 앞에 있는 숲으로 아카시아 나무만 서있다.

▲안새미골 [골]
[위치] 새미골과 큰재넘어골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안찬샘골 [골]
[위치] 찬샘이들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애니 [마을] → 애안이

▲애안이(涯岸-) [마을]
[위치] 덕안 북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대안이, 애니라고도 한다.
[유래] 마을 모양이 기러기 모양이라고 하여 애안이라고 한다.
[풀이] 애+안+이>애안이>애니가 되었다. 애(涯)는 물가 낭떠러지나 산지 언덕을 뜻한다. 안이는 안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오얏골 [골]
[위치] 장미들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웃노루메골 [골]
[위치] 차돌백이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움수골 [골]
[위치] 움수골 마을 뒤편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음수곡이라고도 한다.

▲움수골 [마을]
[위치] 동화산 응달쪽, 웃좁은목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음수곡이라고도 한다.

▲움수골 공동묘지 [묘]
[위치] 여우바우골 위에 있다.

▲원거리들 [들]
[위치] 호적동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원거리보 [보]
[위치] 원거리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원주양궁장 [시설]
[위치] 영동고속도로 문막휴게소 북동쪽, 보통들 서쪽에 있다.

▲윗둔지 [들]
[위치] 호적골 뒤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둔지 위에 있어서 윗둔지라고 한다.

▲윗둔지보 [보]
[위치] 윗둔지들에 있는 보를 말한다.

▲음수곡(飮水谷) [마을] → 움수골

▲음수골산 [산]
[위치] 움수골 뒤에 있는 산을 말한다.

▲음숫골 [골] → 움수골

▲음숫골 [마을] → 움수골

▲이화건업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30-2번지에 있다.
[내용] 1994년 준공된 아파트로 총 170세대이다.

▲작은내들 [들]
[위치] 작은 애니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작은대안이 [마을] → 작은애니

▲작은댓골 [골]
[위치] 댓골의 작은 골짜기를 말한다.

▲작은애니 [마을]
[위치] 애안이의 작은 마을로 덕안 남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작은애니뒷산 [산]
[위치] 작은애니 뒤에 있는 산을 말한다.

▲작은애니들 [들]
[위치] 작은애니 북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작은재골 [골]
[위치] 애안이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장미들 [들]
[위치] 만랑포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장산동(獐山洞) [마을] → 노루메

▲장자들 [들]
[위치] 노루메 옆에 있는 들을 말한다.

▲장자우물 [샘]
[위치] 노루메 옆에 있는 샘을 말한다.

▲절골 [골]
[위치] 동화산 동화사가 있던 골짜기를 말한다.

▲절터 [터]
[위치] 절골에 있는 동화사터를 말한다.

▲점너메들 [들]
[위치] 찬샘이들 뒤에 있는 들을 말한다.

▲점너메보 [보]
[위치] 점너메들에 있는 보를 말한다.

▲좁은목 [마을]
[위치] 수반 서쪽 좁은 목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좁은목다리 [다리]
[위치] 좁은목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중로골 [골]
[위치] 장미들 남쪽 오야골 건너편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진양사원아파트 [아파트]
[위치] 동화리 1530-1번지에 있다.
[내용] 1993년 준공하였고 총 20세대이다.

▲차돌백이 [마을]
[위치] 매사리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찬샘이들 [들]
[위치] 수반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찬샘이 있어서 찬샘이들이라고 한다.

▲찬샘이보 [보]
[위치] 찬샘이들에 딸린 보를 말한다.

▲최동립묘 [묘]
[위치] 동화 3리에 있다.
[내용] 조선 선조 때에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최동립(1557∼ ?)의 묘이다. 묘역에는 묘비와 문인석 2기, 촛대 2기가 있으며, 신도비는 1962년에 세운 것이다.

▲큰대안이 [마을] → 큰애니

▲큰댓골 [골]
[위치] 댓골의 골짜기를 말한다.

▲큰애니 [마을]
[위치] 애안이의 큰 마을을 말한다.

▲큰애니보 [보]
[위치] 큰애니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큰재넘어골 [골]
[위치] 작은재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탑전(塔田) [마을]
[위치] 애안이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옛날에 밭 중앙에 탑이 있었다고 하여 탑전이라고 한다.

▲탑전이저수지 [못]
[위치] 탑전 앞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할미소들머리골 [골]
[위치] 동화천 남쪽 최상류 법흥사가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호동교 [다리]
[위치] 호적골과 동화골 사이에 있다.
[내용] 길이 20m, 너비 5m로 1976년에 건설되었다.

▲호적골(戶籍-) [골]
[위치] 동화골 남서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호적골 [마을]
[위치] 동화골 남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회병골 [골]
[위치] 동화산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전설]
[동화사]
조선 중엽에 한 승려가 동화골을 지나면서 오동나무 한 그루를 주면서 이 나무를 잘 기르면 자손과 마을이 번창할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동화산 부처골로 가서 절을 지었다. 그 절에는 큰 스님과 동자 한명이 살고 있었는데 그 동자는 무척 총명하여 큰 스님의 가르침을 잘 익혔다. 동자가 18세가 되어 작은 스님이 되고 큰 스님은 기운이 쇠약하여지자 장차 이 절을 맡아줄 것을 부탁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죽음을 예감하고는 작은 스님에게 자신이 불공을 드리는 동안 마을에 가서 시주를 하여 가지고 오라 하였고 단, 동화사 입구에서 절까지 오는 동안 절대로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신신당부를 하였다. 작은 스님이 시주를 끝내고 동화산 중턱에 다다랐을 때 굉음이 울리며 광풍이 불더니 어마어마하게 큰 천년 묵은 빈대가 소리를 지르며 빨리 가서 부처를 가지고 오면 큰 스님의 목숨을 살려주겠다고 하였다. 큰 스님은 절대 무슨 일이 있어도 부처를 가지고 오면 안 된다고 큰 소리를 쳤다. 작은 스님은 무작정 절을 향해 뛰었는데 그 때 큰 스님의 비명소리가 들렸다. 작은 스님은 놀라 고개를 돌려보니 큰 스님은 살아있고 빈대가 죽으면서 큰 스님의 목소리를 흉내낸 것이었다. 작은 스님이 돌아보며 큰 스님과 눈이 마주치는 순간 빈대는 마지막 힘을 다 해 꼬리로 큰 스님을 후려쳤다. 큰 스님은 비명을 지르며 쓰러졌고 그 때서야 잘못을 안 작은 스님은 절을 향해 도망치다가 백년바위 아래로 떨어져 죽었다.
원래 절터는 빈대의 소굴이었는데 큰 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절을 지었고 천 년 묵은 빈대는 큰 스님의 기운이 쇠약해질 때를 기다려 싸움을 건 것이었다. 이를 보이지 않으려고 작은 스님을 시주보낸 것이었다. 절은 폐허가 되었고 백년바위에는 노송이 혼이 되어 서 있으며 오동나무도 점점 없어지고 지금은 두어 그루가 남아 있는데 그 후부터 이 산을 동화산이라 하고 마을은 동화골이라고 하였다 한다.

[인물]
[박권]
박권의 부친은 원주목사를 지낸 박시경(朴時璟)으로 그의 묘와 묘비가 원주시 문막읍 동화 2리 호적골에 있다. 박권의 본관은 밀양이며, 자는 형성(衡聖), 호는 형성(衡聖)이다. 효종 9년(1658)에 출생하여 숙종 12년(1686) 29세 때 문과에 급제하고 병조좌랑·정언을 지냈다. 숙종 38년에 한성우윤(漢城右尹)에 임명되었으며, 이해에 청나라의 목극등(穆克登)과 회담하여 백두산정계비를 세우고 돌아왔다. 후에 이조판서, 예조판서, 병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지냈으며, 숙종 41년(1715)에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