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책갈피 추가
페이지

4페이지 내용 : 일러두기 것이다. 그러나 제문 祭文 3편과 잠언 箴言 4편 및 명문 銘文 3편은 상당한 문학성을 내上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와 저울에 새기는 명문〔尺衡銘〕」 1편은 특히 명문장으로 이름나 지금도 충청도 유림들 사이에서 전송되어 오고 있다. ࡔ윤지당유고ࡕ의 핵심은 성리학적 性理學的 논문이라 할 수 있는 설 說 6편으로, 「이기심성설 理氣心性說 」・「인심도심사단칠정설 人 心道心四端七情說 」・「예악설 禮樂說 」・「극기복례위인설 克己復禮 爲仁說 」・「치란재득인설 治亂在得人說 」・「오도일관설 吾道一貫說 」 이 그것이다. 이 논문에는 그녀의 이기론 理氣D ・심성론 心性D ・ 사단칠정론 四端七情D ・인물성동이론 人物性同異D ・예악론 禮樂 D 등이 잘 나타나 있다. 「경의 經義 」 2편은 각기 ࡔ대학 大學 ࡕ과 ࡔ중용 中庸 ࡕ에 대한 해 설서인데, 중요한 장구 章句 마다 간단하게 설명을 붙이고 자신의 견해나 유의사항 등을 기록한 것이다. 이 가운데에는 친정오빠 녹문 鹿門 임성주 任聖周 와의 토론내용이 上함되어 있어 그의 영향을 알 수 있다. 이 「경의」는 1786년에 그녀가 직접 필사하여 임성주에 게 보였고, 후에 친정동생 임정주에게 보내어 다시 한 번 검토를 받 기도 하였다. 임성주는 그녀의 「경의」에 대하여, “사색이 매우 정밀 하다.”고 칭찬하였다. 논 論 11편은 모두 중국 역대의 인물에 대한 평론 評D 으로, 일 종의 사론 史D 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는 예양 豫讓 ・보과 輔果 ・ 미생고 微生高 ・안자 顔子 ・자로 子路 ・가의 賈誼 ・이㎝ 李陵 ・ 온교 溫嶠 ・사마광 司馬光 ・왕안석 王安石 ・악비 岳飛 등 11명에 대한 인물론 人物D 인데, 안자 한 사람을 제외한 모든인물들에

페이지
책갈피 추가

5페이지 내용 : 일러두기 대하여는 신랄하고 대담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단순한 인물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임윤지당의 역사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ࡔ임윤지당의 생애와 학문 상 ・ 하 ࡕ 범례】 ▹ ࡔ임윤지당의 생애와 학문ࡕ 책자는 2001년 1월 조선시대사학회 에서 편찬한 ࡔ국역 윤지당유고ࡕ 1책을 재편집하여 2책으로 발 간하였다. ▹ 2001년 당시 ࡔ국역 윤지당유고ࡕ의 집필진은 다음과 같다. 해제 解題 이영춘 李迎春,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국역 國譯 이영춘 李迎春,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주석 註釋 심승구 沈勝求,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주석 註釋 신명호 申明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 이번 책자에는 기존의 ࡔ국역 윤지당유고ࡕ과 달리 ࡔ윤지당유고ࡕ 뿐만 아니라 임윤지당과 관련된 원본 原本 고문서도 가능한 한 수록하여 사료로써의 가치를 더욱 높였다. 수록된 고문서의 소 장처는 다음과 같다. 고려대학교 ࡔ允摯堂遺稿ࡕ・ࡔ靜一堂遺稿ࡕ 국립중앙도서관 ࡔ鹿門先生文集ࡕ・ࡔ雲湖集ࡕ・ࡔ豊墅集ࡕ 성균관대학교 ࡔ鹿門先生文集ࡕ ▹ 수록된 원본은 소장처의 허가에 의해 사진촬영을 하였다. ▹ ࡔ임윤지당의 생애와 학문ࡕ 발간 편집자는 다음과 같다. 책자편집 김성찬 원주시 학예연구사 사진촬영 권오찬 원주시 시정홍보실

탐 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