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유류

늑대
1/
늑대 대표이미지 1
늑대 대표이미지 2
늑대 대표이미지 3
늑대 대표이미지 4
  • 학명 Chinese(or South Asiatic) Wolf
  • 분포 우리나라, 중국, 만주, 시베리아

상세정보

과거에는 서식하였으나 현재 치악산과 원주에 서식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낮에는 산림이 무성한 산림의 숲, 인가근처의 산림에서 생활한다. 이종은 환경부지정 멸종위기Ⅰ급으로 멸종 단계에 접어들어 복원사업이 필요한 종류이다.
짝짓기는 1~2월인데 이 때에는 군집하여 암컷을 추적한다. 짝짓기가 끝나면 암컷은 수컷과 헤어져서 고독한 생활을 한다. 늑대는 일부일처(一夫一妻)의 동물이어서 암컷 1마리가 수컷을 택하여 짝짓기를 한다. 짝짓는 시간은 낮에는 거의 드물고 주로 야간에 많이 이루어진다. 임신된 늑대는 새끼들을 위해 매우 복잡한 여러 가지 모양의 보금자리(Nest)를 만드는데 큰 바위와 바위틈바구니, 절벽의 큰 바위 밑, 자연의굴, 동굴 같은 곳에 선정하고 마른 풀, 동물의 털 같은 것을 넣어둔다. 한배에 보통 5~10마리를 낳는데 수컷이 언제나 많다.
새끼는 눈을 감은 채 태어나서 11~13일이 지나면 눈을 뜨기 시작한다.
생후 3주된 새끼들은 일광욕을 하기위해 보금자리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고 1개월이 지나면 배속에 있던 고기를 토해 어린 새끼에게 육식방법을 가르치기 시작한다. 젖은 5~6개월간 먹고 생후 45~60일이 되면 이(齒)는 토끼 뼈를 깨트릴 정도로 튼튼해진다. 이때부터 여러 종류의 동물을 반쯤 죽여서 갖다 주어 죽이는 방법과 먹는 방법을 가르친다. 새끼들의 양육은 주로 어미가 책임을 지고 어미가 새끼를 낳았을 때 수컷이 어미를 위해 먹이를 운반한다.
6월이 되면 머리는 몸체에 비해 매우 크게 보이며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져 8월 말경에는 사냥개 크기로 자라 가족의 일원으로 수렵에 참가 하고 9월이 되면 보금자리를 버리고 10월이 되면 작년에 태어난 새끼들과 혼동할 정도로 성장하고 이때에 이(齒)가 전부 교체된다. 식욕은 대단하여 송아지, 산양과 같은 것은 털 하나 남기지 않고 앉은자리에서 다 먹어 치운다. 그리고 5~6일간 굶어도 살 수는 있지만 물을 안 먹고는 얼마 살지 못한다.
낮에는 무성한 산림의 숲에서 수면이라기보다는 가수면 상태로 휴식을 취한다. 시각, 청각, 후각의 발달은 대단하여 눈으로 보는 것보다 멀리서 냄새를 더 잘 맡는데 2km(5리)이상 떨어진 것도 맡는다고 한다.
산림지역에서 먹이를 찾기 힘들어지면 인가근체 내려와 양, 개, 송아지를 잡아먹기도 한다. 늑대에게는 광견병을 보유하고 있어 사람이 무리면 위험하다고 하여 1930년경에는 경찰이 늑대를 잡으면 5원의 상금을(초등교사월급이 25원(1925~1930)준 적도 있었다. 늑대는 사람의 목소리, 어린아이울음소리, 웃는 소리, 우는소리, 신음소리 흉내를 잘 낸다.
늑대의 발자국은 큰 개와 비슷하나 조금 크고 일직선으로 걸어감과 동시에 앞발자국 위를 뒷발로 밟고 지나가므로 두발가진 짐승으로 오인하기 쉽다.
눈에서는 호랑이와 마찬가지로 불쾌한 이상한 밝은 빛이 난다.
먹이는 죽은 동물의 고기도 잘 먹지만 들쭉과 같은 과실도 즐겨먹는다. 들꿩과 같은 야생조류와 인가근처에서는 개, 염소, 돼지를 먹는다.
일제가 잡은 늑대의 숫자는 1915~1942년에 해수구제라는 명목으로 호랑이 97마리, 표범 624마리, 곰 1,059마리, 늑대 1,369마리를 포획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 포획 수는 이보다 훨신 많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16.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