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관련용어

게시물검색
1167 개   [ 102 / 117페이지 ]
분류
  • 답변
    유기농업이 확산됨에 따라 퇴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퇴비의 원료로는 계분, 볏짚 등이 쓰인다. 그런데 계분이 외국에서 들여온 사료를 먹은 닭에서 나오는 것이라 문제가 되고 있다. 사료에는 포스트 하비스트 농약(수확 후 처리농약), 호르몬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서 계분과 퇴비에 영향을 미친다. 과잉 투입, 미숙한 시비가 병충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답변
    슈퍼마켓에서 어패류·육류·채소류 등을 포장지에 싸는 경우와 레토르트(Retort,조리가 다 된 식품을 밀봉한 후 고온 멸균처리한 즉석 식품. 레토르트 파우치라고도 한다) 식품이나 냉동 식품처럼 가공 식품을 포장해서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는 팩 재료의 자원 낭비, 폐기물 증량, 삼림파괴, 포장재에서 나오는 성분에 의한 식품오염이라는 문제가 있다.
  • 답변
    퍼파(PURPA)법은「Public Utility Regulatoyy Policies Act of 1978」(1978년 공익사업 규제 정책법)의 약어다. 미국에서 석유파동 뒤에 카터 정권이 &#39분산형 전원 철학&#39 을 정책적으로 추진하면서 절약형 에너지와 자원의 유효 활용을 목적으로 제정하였다. "전력 회사는 코제너레이션 및 바이오매스, 폐기물 연소, 풍력, 태양에너지, 작은 규모의 수력을 포함해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는 소규모 발전으로 적정한 가격에 전력을 구입할 의무가 있다"며 소규모 발전 촉진을 위한 법률로 유효하게 적용되고 있다.
  • 답변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소형 슈퍼마켓. 연중 무휴. 장시간 영업(24시간). 식품과 일용품 중심으로 상품을 풍부하게 갖추는 등 도시 소비자형구매 욕구에 적합하다. 직영 체인점과 프랜차이즈 체인 시스템(Franchise Chain System. 본부가 인테리어 ·판매 촉진·광고·인사교육 등 경영을 지도하며 가맹 소매점에 지역을 한정한 영업 대리권을 주는 형태. 서비스업 ·외식업 ·편의점 등에 보급되어 있다)이 있다.
  • 답변
    폐기물처리법에서는 산업활동으로 발생하는 폐유를 산업폐기물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해양오염방지법에서는 선박내에서 발생한 기름을 폐유로 정의하고, 이를 선박에서 배출하는 행위를 규제하고 있다.
  • 답변
    자국에서 처리하기 힘든 폐기물을 타국에서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을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선진국에서 후진국으로 폐기물의 이동이 일어난다. 유럽과 미국의 경우 환경과 안전에 대한 법률이 강화되고 유해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비용이 오름에 따라 폐기물 처리업자들은 쉽게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장소로 제 3세계, 특히 아프리카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선진국들의 유해 폐기물을 아프리카에 버리는 거래가 비밀리에 이루어져 왔으나, 아프리카 정부와 합의 아래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선진국간의 폐기물 무역과는 달리 제 3세계에 대한 패기물 수출은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 답변
    이미 사용하여 못 쓰게 된 액상 폐기물의 총칭.폐수는 가정 및 공공건물, 영업건물 등에서 배출되는 가정폐수와 공장에서 배출되는 공장폐수로 나뉘는데, 공장폐수는 다시 광의의 산업폐수에 포함된다. 공장폐수는 특히 수질오탁과 토양오염의 주원인이다. 산업화의 초기에 폐수는 단지 하수로서 취급되었으나 산업공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폐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현재 한국에서는 환경정책기본법, 수질환경보전법,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해 폐수가 관리되고 있다.
  • 답변
    폐기물 처분에는 매립처분과 해양투입처분, 소각 등이 있다. 매립처분은 육상이나 수면에 설치된 매립지에 투기하는 것으로 폐기물 처리법에 그 기준이 정해져 있다. 폐기물을 최종적으로 투기·투입 처리하는 것을 &#39처분&#39이라고 하며, 태울 수 있는 쓰레기의 소각, 대형쓰레기의 분쇄, 플라스틱의 융해, 고체화, 분별 등을 &#39처리&#39라 하여 구분하고 있다.
  • 답변
    폐기물 파쇄, 압축, 소화, 여과, 흡수, 흡착, 소각 등의 물리적.화학적 조작에 의하여 감량화, 무해화, 혹은 재생 이용을 도모하는 일련의 공정을 말한다. 공업화가 급속히 진전되면 인공환경이 자연환경을 압도하고, 배출된 폐기물은 자연의 흡수 능력을 넘어 축적,증가하여 폐기물 공해를 초래하게 되므로 공업의 근대화에 따른 폐기물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 답변
    해충이나 곰팡이, 부패 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수확 한 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는 것.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프라이드 포테이토의 원료가 되는 수입 냉동 감자에서 발아 방지용 제초제 크롤프로팜이 검출되어 문제가 되기도 했다. 포스트 하비스트에 사용되는 농약들에 대한 잔류 기준이 없기 때문에 거의 손을 댈 수 없는 상태이다. 검역과정에서 규제 강화가 강력히 요구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16.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