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관련용어

게시물검색
1167 개   [ 109 / 117페이지 ]
분류
  • 답변
    해양의 미생물, 플랑크톤, 해조류, 어류 등의 분포. 유기물 생산이나 물질순환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물의 생식장소에 따라 해양, 하천, 삼림, 초원, 도시 등으로 구분할 때 해양생태학이 이용된다.
  • 답변
    곰팡이나 세균 등 미생물에 의해서 생성되어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저지하는 물질. 1941년 페니실린의 재발견 이래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트리코마이신 등 많은 항생물질이 개발되었다. 의약품 외에 사료 첨가제, 농약 등에도 사용된다.
  • 답변
    해양에서 생물군집이 총합되어 있는 계를 말한다. 생물군집에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가 포함되어 있다. 내수면 생태계, 연안 생태계, 근해 생태계, 원양 생태계 등으로 하여 특정 해역을 하나의 생태계로서 취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 답변
    폐기물의 해양 투기에 대해서는 해양오염방지법과 폐기물 처리법에서 해양 투입 처분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이 기준은 해양에 버려도 되는 폐기물의 종류를 지정하고, 그 종류에 대응하여 배출 해역과 배출 방법을 정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해양 투기가 인정되는 것은 ①선박 혹은 해양 시설내의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②정부 법령상 투기할 수 있다고 정해진 폐기물 ③선박의 통상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과 오수 중에 정부 법령으로 해양에서의 처분이 불가피하다고 인정된 폐기물이다.
  • 답변
    산업활동이나 생활 속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나 오염물질이 해양에 유입되어 일어나는 오염. 해양오염 가운데 연안 해역 오염의 주요한 원인은 ①선박 혹은 해양 시설에서 배출되는 유류 및 폐기물 ②임해공장에서 나오는 폐액이나 폐기물이 직접 바다나 하천으로 유입되어 축적되는 PCB, DDT, BHC 등 유기염소계 화합물과 각종 중금속 ③연안 도시에서 나오는 각종 쓰레기 등이다. 해양오염의 가장 큰 문제는 탱커 등에서 버려지는 유류다.
  • 답변
    국제원자력기구가 행하고 있는 핵사찰의 종류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br>1 임시사찰<br>특정국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의 기본협정인 핵안전헙정에 가입할 경우, 가입국은 현 핵 시설과 핵물질 보유현황을 구체적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보고할 조약상의 의무를 갖는다. IAEA는 가입국의 보고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현장조사를 통해 보고내용과 실제 핵물질 및 시설보유현황이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신고 사실의 대조 확인작업을 위해 실시되는 것이 바로 임시사찰이다. <br>2. 통상사찰<br>핵물질 및 시설의 변동사항과 보고내용의 일치여부에 대한 정기검증 제도. 임시사찰을 통해 조약가입국의 핵물질 및 시설의 신고내용과 조사결과가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IAEA는 이를 가입국의 핵물질 현황으로 간주, 감시카메라 등 감시검측 장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변동상황을 추적하게 된다. <br>3. 특별사찰<br>임시사찰이나 통상사찰을 통해 IAEA가 특정국에 미신고 핵물질이나 시설이 존재한다는 의심이 가거나 핵현황에 이상이 있다는 심증을 가질경우 &#39긴급하고 필요하다&#39는 판단을 전제로 별도로 실시하는 사찰. IAEA는 NPT 가입국의 핵현황에 대해 의심이 있을 경우 신고사실 이외의 시설에 대해 사찰을 실시할 조약상 권한을 갖고 있다.
  • 답변
    「기름에 의한 해수오염 방지를 위한 국제 조약」은 탱커액체 화물을 수송하는 배 (석유류를 운반하는 유조선, LPG선, 케미컬 탱커 등이 있다)의 대양 운항이 증가 추세를 보이자 1954년에 서명하여 1958년부터 발효됐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기름으로 인한 바닷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약으로, 선박의 기름배출 규제, 유량 기록부의 관리, 항만의 폐유 처리시설 정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조약을 강화하기 위해 기름 외에 유해 액체물질의 배출 규제를 첨가한 「선박에 의한 오염방지를 위한 국제조약」이 1973년 채택되어 1983년부터 발효되었다. 이 의정서는 통칭 「마르폴 73 78년 조약」이라고 한다.
  • 답변
    핵폐기물에는 고준위 핵폐기물, 저준위 핵폐기물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의료 기관이나 방사능관련 연구소 등 방사성 동위원소 이용기관에서 나온 폐기물도 있다. 또한 수명이 다한 핵발전소 자체도 해체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며, 방사능오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다.
  • 답변
    가벼운 원소 사이의 핵반응에 의해서 무거운 원소가 형성되는 반응. 상호 작용하는 핵이 원자번호가 낮은 원소에 속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된다. 1939년 물리학자인 한스 A. 베테는 태양 및 그에 준하는 다른 별들의 에너지 방출은 4가지 수소 원자핵이 결합해 하나의 헬륨 원자핵을 형성하는 발열(에너지를 방출하는) 핵융합의 결과라는 견해를 발표했다.
  • 답변
    1994년 6월 28일 당시 환경처는 해양오염사고에 쓰이는 오일 펜스, 유흡착제 등 오염방지 자재 및 약재의 성능 시험기준 등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처는 특히 해양기름 유출사고 등에 쓰이는 유처리제의 독성 판단을 위해 송사리, 플랑크톤 외에 알테미아 새우에 의한 시험을 추가했으며, 유흡착제는 흡유량과 강도시험 등이 강화됐다. 또 새로 나온 제품 가운데 농축형 유처리제와 롤형 유흡착제의 기준치를 신설하는 한편 기름유출사고 지역에 설치하는 오일 린스의 인장 강도시험을 추가하기로 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16.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