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등록일 2018.02.06 조회수 133
건강정보 > 건강정보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제공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작성자 보건사업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 예방수칙 준수 당부!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지속적인 증가 추세, 특히 0~6세 발생 높음
* 2017년 52주(12.24.∼12.30.) 102명 → 2018년 4주(1.21.∼1.27.) 158명
* 2018년 4주, 0~6세 77.2% 차지
◇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집단감염 주의 필요
◇ 올바른 손씻기 및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등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최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신고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로타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과 물을 섭취하였거나, 환자 접촉을 통한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감염병으로, 주로 겨울철에서 봄철까지 발생하며,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1~3일 안에 구토, 발열,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남

○ 장관감염증 표본감시기관(192개소)의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18년 4주(1.21.~1.27.)에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환자 수는 총 158명으로 2017년 52주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연령별로 0~6세가 77.2%로 높았다.

* ’17년 52주(12.24.~12.30.) 102명

○ 급성설사질환 실험실 감시 결과 5세 이하의 설사환자에서 최근 5주간 로타바이러스 양성률*(9.9%)은 이전 5년 평균 양성률(8.3%)보다 높게 나타났다.

* 양성률은 전체 수집된 환자의 검체 중 로타바이러스 양성이 확인된 검체의 비율

○ 또한, 2017년 장관감염증 집단발생 역학조사 결과, 유행 사례 중 68%(13/19건)가 산후조리원/신생아실에서 발생하여, 집단생활을 하는 유․소아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및 어린이집 등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관리 주의를 당부하였다.

○ 아울러,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환자 구토물 처리 시 소독 등 집단 시설의 철저한 환경 관리를 강조하였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수칙>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씻기
∘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조리 전, 기저귀 간 후 등
◇ 안전한 식생활 지키기
∘ 끓인 물 마시기
∘ 음식물은 반드시 익혀서 먹기
∘ 집단시설에서 액체분유 사용 권장
◇ 환자와 접촉 제한
◇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에 대한 염소 소독하기
∘ 염소 (5,000~20,000ppm 농도) 소독하기

<붙임>
1.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개요
2.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현황
3.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시 소독방법
4. Q&A
파일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보건행정과
  • 담당자 김은정
  • 전화번호 033-737-4012
  • 최종수정일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