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정보도자료

작성일 2014.04.22 조회수 1307
시정소식 > 보도자료 > 시정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담당부서, 문의전화, 내용, 파일 제공
충효공(忠孝公) 황자룡(黃子龍) 선생 헌다례(獻茶禮)
담당부서 시정홍보실

□ 헌다례 행사개요
  ? 일    시 : 2014년 4월 22일(화) 11:00~13:00
  ? 장    소 : 충효사(忠孝祠, 문막읍 반계리 969번지 골무내기 마을)
  ? 주    최 : 원주시
  ? 주    관 : 원주문화원(원장 : 장순일)
  ? 참    석 : 원주시민, 지역인사, 황자룡 선생 후손 등 150인
  ? 헌    관
    초헌관 : 원창묵 원주시장
    아헌관 : 채병두 원주시의회의장
    종헌관 : 장순일 원주문화원장

□ 황자룡(黃子龍, 1568~1652) 선생 약력
  ? 선생의 본관은 창원으로, 아버지 황징(黃澄)과 어머니 원주 이씨 사이에서 1568년 음력 3월 23일 태어났고, 무진년(戊辰年)에 태어났다고 하여 초명(初名)을 무진(戊辰)이라고 하였다.
  ? 타고난 품성이 어질어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겼고 기골이 장대하였다. 임진왜란 때 군문(軍門)에 들어가 왜적의 장수를 사로잡은 공이 있어 황장사(黃壯士)로 불렸고, 이러한 공으로 원주목사(原州牧使) 한준겸(韓浚謙)에 의해 병방(兵房)으로 발탁되었다.
  ? 효성이 지극하여 50리 길을 매일 어버이께 장국밥을 봉양하였고, 100일째부터는 호랑이가 그를 태우고 다녔으니 사람들이 이러한 사실을 알고서 ?하늘이 낸 효자?라고 칭송하였다. 1608년 선조(宣祖)가 승하하시니 부모의 상사(喪事)와 같이 삼년상(三年喪)을 입었고, 이원익( 元翼)?임숙영(任叔英)?김세렴( 世濂) 등이 이러한 충의(忠義)를 찬양하였다.
  ? 1610년에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내어 드렸고, 5년을 더 살다가 돌아가시자 묘소 옆에 여막( 幕)을 짓고 살아 있을 때와 같이 섬겼다고 한다. 한준겸이 크게 감탄하여 시를 지어 읊으니 김상용( 尙容)?김창일( 昌一)?이식( 植)이 차례로 선생의 효행을 화답하였고, 이로부터 명현(名賢)들이 지위의 고하(高下)를 가리지 않고 교유하였다.
  ? 1627년에 이인거( 仁居)의 난이 일어나자 역적과 친하다 하여 원주목사 홍보(洪?)에게 잡혀 서울로 압송되는 도중에 그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간 의병장 김창일과 참모 허후(許厚)의 도움으로 풀려나 장사지냈다. 1634년 정문(旌門)이 세워지고, 1635년 중국 황제에게 알려져 소련(少連)?대련(大連)?황향(黃香)과 함께 사효(四孝)라 하여 ?이련(二連)?이황(二黃)?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 1650년에 효종(孝宗)은 황효자의 이름을 자룡(子龍)이라 지어주고 절충장군(折衝將軍) 용양위( ?衛) 부사과(副司果) 벼슬을 하사하였다.
  ? 1652년 음력 4월 22일 자녀와 친지가 지켜보는 가운데 돌아가니 향년 85세였다. 시호(諡號)를 충효(忠孝)라 내리고, 1653년 나라에서 다시 홍색(紅色)의 정문(旌門)을 세우니 세상 사람들이 “살아서는 청정문(靑旌門)이고, 죽어서는 홍정문(紅旌門)이다.”라고 하여 ‘생청사홍(生靑死紅)’이라고 칭송하였다.
  ? 황효자를 봉안한 충효사는 1704년에 건립되어 나라에서 ‘충효사(忠孝祠)’라는 현판(懸板)과 제기(祭器)를 하사하였다. 2009년 11월 11일자로 원주시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담 당 자 과  장 신관선 주무관 김성찬 연 락 처 033 737 2815 033 737 2811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시정홍보실
  • 담당자 심정훈
  • 전화번호 033-737-2122
  • 최종수정일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