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명유래

작성일 2023.12.15 조회수 22
흥업면-우리면소개 > 지명유래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제공
사제리(沙堤里)
작성자 흥업면
[위치]
사제리는 남쪽으로는 대안리, 동쪽으로는 흥업리, 서쪽에는 문막면과 지정면, 북쪽에는 호저면과 접해 있다. 동쪽에는 배부른산이 있고 서쪽에는 동화산, 북쪽 마을 가운데에는 매봉산이 있다.

[유래]
하천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모래가 많이 있고 옛부터 사금이 나오는 곳이었다고 한다. 모래가 많은 개울이란 뜻에서 사(沙)+개울>사개울>사재울>사제울로 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혁]
고종32년(1895년) 사제울이라 불리우다 조선시대에 사제면이 되어 면사무소가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금물산면의 사제리로 되었다가 1916년 흥업면의 사제리로 개칭되었다.
1973년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사제 1,2,3리로 구분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이사항]
백운산 지류인 도화천과 매지천, 덕가산과 명봉산의 지류인 대안천이 합류되어 사제천으로 모여 섬강으로 흘러 농업이 발달했다. 흥업과 문막을 연결하는 지방도로가 놓여 있으며 원주와 서울을 잇는 국도 42번이 지나고 있어 교통량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사제울 3.1 만세운동을 한 곳이다.

[지명]
▲가랑배미 [들]
[위치] 뒷골 앞에 있는 논자리를 말한다.
[유래] 논의 모양이 바지가랑이처럼 생긴데서 유래되었다.

▲가맛골 [골]
[위치] 수운동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현 원주시생활환경사업소 위치이다. 녹매골이라고도 한다.
[유래] 골짜기 지형이 가마솥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감투바위 [바위]
[위치] 사제3리 팔포 앞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큰바위 위에 바위가 또 올라 앉아서 감투를 쓴 것 같이 보인다 하여 지어졌다.

▲개경지 [들]
[위치] 사제리 새마을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개경지 학교터 [터]
[위치] 등곡 앞 개경지에 있는 터를 말한다.
[내용] 홍범희 선생이 1946년 육민관학교를 처음 세워 농촌의 젊은이들을 헌신적으로 가르쳤던 학교자리이다.

▲개바위 [바위]
[위치] 복거리 마을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옛날 주인이 밤길에 오다가 늑대한테 홀려서 죽으려고 할 때 기르던 개가 나타나서 주인을 구하고 죽었다고 하며 마을에서 비석을 세워주었다고 한다.

▲거장임대아파트 [아파트]
[위치] 사제리 337번지에 있다.
[내용] 194세대로 1999년에 건립하였다.

▲골말 [마을]
[위치] 광터 동쪽 요동으로 가는 사이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어원]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골말이라 한다.

▲골말연못 [못]
[위치] 골말 앞에 있는 연못을 말한다.

▲곰내미재 [고개]
[위치] 머내에서 수루니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공동묘지 [묘]
[위치] 광터 마을 뒤에 있는 오래된 공동묘지를 말한다.

▲광대(光垈) [마을] → 광터

▲광터 [마을]
[위치] 사제3리로 무내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예전에 군사들이 먹을 군량미를 쌓아둔 광이 있었다 하여 광터로 불린다.

▲광터고개 [고개]
[위치] 광터에서 뒷골로 가는 남쪽의 고개를 말한다.

▲광터교 [다리]
[위치] 광터와 보통리 상광터동을 잇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1.6m, 너비 3.4m로 1974년에 가설하였다.

▲광터들 [들]
[위치] 광터 앞에 있는 넓은 들로 논으로 되어 있다.

▲광터보 [보]
[위치] 광터 앞에 있는 보로 광터들에 물을 대어준다.

▲광터저수지 [못]
[위치] 광터 마을 뒤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광터침례교회 [교회]
[위치] 광터 마을 건너편에 있는 기독교 침례교회로 새로 생겼다.

▲구정가래 [들]
[위치] 복거리 앞에 있는 논을 말한다.
[유래] 가래질을 많이 해야 될 정도로 큰 논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군량골 [골]
[위치] 광터 마을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옛날에 왕건과 견훤의 전쟁 때 군량미를 쌓아 두었던 골짜기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날근터 [터]
[위치] 골말에서 호저면 만종2리 중부로 가는 곳에 있는 버덩을 말한다.

▲날근터들 [들]
[위치] 날근터에 있는 들을 말한다.

▲녹매골 [골] → 가맛골

▲느티나무 [나무]
[위치] 사제리 봉미 마을 앞에 있다.
[내용] 높이 19m, 둘레 3.2m로 수령 약 200년이다. 1982년 11월13일 원주시 보호수로 지정되었다.

▲다랑백이골 [골]
[위치] 무봉산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대사제(大沙堤) [마을]
[위치] 사제2리 사제울의 큰 마을을 말한다.

▲대사제보 [보]
[위치] 대사제 앞 동쪽에 있는 보를 말한다. 사제울들로 물을 댄다.

▲덕고개 [고개]
[위치] 팔포 뒤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팔포와 뒷골을 잇는 고개이다.

▲뒷골 [마을]
[위치] 사제울 뒤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후동(後洞)이라고도 한다.

▲동골 [마을]
[위치] 사제초등학교가 있는 마을을 말한다.

▲등곡(燈谷) [마을] → 등골

▲등골 [마을]
[위치] 배부른산 서쪽 기슭 봉현마을 남쪽에 있다. 등곡이라고도 한다.
[유래] 옛날 이 마을에 홍판서가 살았는데 밤에도 늘 불을 환히 켜 놓아서 밤을 낮처럼 밝게 하고 살았기에 등골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땀띠물 [샘]
[위치] 등골에 있는 샘을 말한다.
[내용] 이 물을 먹으면 땀띠에 잘 듣는다고 한다. 옻물이라고도 한다.

▲매봉산 [산]
[위치] 봉미동 북쪽에 있는 산을 말한다.
[유래] 산의 모양이 매처럼 생겼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맹상모롱이 [모롱이]
[위치] 팔포천 상류에 있는 모롱이.
[풀이] 산모퉁이에 있는 지형으로 "모퉁이>모통이>모롱이"로 변하였다.

▲머내 [마을]
[위치] 후동 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무내, 오천(梧川), 팔포라고도 한다.
[유래] 마을에 오동나무가 있으므로, 오동나무의 옛 이름인 머귀나무>머그나무라 하던 것이 변하여 머내, 무내, 또는 한자어로 적어서 오천이라 한다.
[풀이1] '머귀내>머그내>머내' 로 변하였다.
[풀이2] 마을이 냇가에 있는 것으로 보면 '물내>무내>머내'로 변하였다고도 추정할 수도 있다.

▲멍석바우 [바위]
[위치] 봉미 앞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마치 펀펀한 멍석처럼 생겨서 멍석바우라고 한다.

▲멍에배미 [들]
[위치] 후동 마을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논의 생김새가 소의 멍에같다고 하여 지어졌다. '배미'는 논배미를 말한다.

▲메무리들 [들]
[위치] 사제2리 삼성동 마을 앞의 들을 말한다.

▲모래장터 [터]
[위치] 사제울 앞 동쪽에 있는 넓은 터를 말한다.
[유래] 일제시대 3.1 독립운동 당시(1919년 4월 9일) 사제, 매지, 대안 3개리 주민 200여명이 모여 독립만세를 부르고 의기를 모았던 (모래터) 장소로 지금은 논이 되었다.

▲무내 [마을] → 머내

▲무내골 [골]
[위치] 머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무봉산(舞鳳山) [산]
[위치] 요동 남쪽 자락으로 광터 뒤에 있는 높이 205m의 산을 말한다.
[유래] 봉황이 내려와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어 무봉산이라 한다.

▲무봉암터 [터]
[위치] 무봉산 중턱에 있는 절터를 말한다.
[유래] 신라 경순왕 때 백운선사가 세운 절로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문화재집 [건물]
[위치] 사제리 674번지 봉현마을에 있는 집을 말한다.
[내용] 박종옥씨의 전통가옥으로 1982년 11월3일 강원도 문화재로 지정, 보존되고 있다. 시인, 작사가 박건우 선생의 집이다.

▲박달봉 [산]
[위치] 사제3리 뒷산을 말한다.
[유래] 박달나무가 많이 자라므로 박달봉이라 한다.

▲배부른산 [산]
[위치] 사제리와 무실리 사이에 있는 높이 437m의 산을 말한다. 배부릉산, 포복산(胞腹山)이라고도 한다.
[유래1] 사람이 음식을 많이 먹어서 임산부처럼 배가 부른 듯 하다고 하여 생긴 이름이다.
[유래2] 옛날 홍수가 나면 이 산에 올라가 문막 쪽의 배를 불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배부릉산 [산] → 배부른산

▲버선배미 [들]
[위치] 뒷골 마을 앞에 있는 논자리를 말한다.
[유래] 논의 모양이 버선 같이 생겨서 버선배미라 한다.

▲벗나무고개 [고개]
[위치] 사제리에서 복시울 마을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이 고개에 큰 벗나무가 있어 봄이 되면 화사한 꽃이 피는 고개로 유명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벙거지배미 [들]
[위치] 뒷골 옆에 있는 논자리로 벙거지 모양을 하고 있다.

▲벼락바우 [바위]
[위치] 광터와 팔포 사이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깎아지른 듯이 벼랑이 져있으며 벼락을 맞은 듯이 서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병풍바위골 [골]
[위치] 팔포 앞 남쪽에 병풍바위가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보들 [들]
[위치] 봉미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보가 있어서 보들이라 한다.

▲복거리 [마을]
[위치] 등곡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보가 생겨 마을이 형성되고 잘 살게 되어서 붙여졌다.

▲복솔 [마을]
[위치] 봉미동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복술, 복시울, 복수동이라고도 한다.
[유래] 한산 이씨가 살면서 복수동으로 고쳤다.

▲복수동 [마을] → 복솔

▲복술 [마을] → 복솔

▲복시울 [마을] → 복솔

▲봉미(鳳尾) [마을]
[위치] 뒷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무봉산 끝에 있다.
[유래] 무봉산 끝자락에 있는 마을이라서 봉미라 한다.

▲봉미교 [다리]
[위치] 봉미 마을에서 호저면 중부로 건너가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1997년 5월에 준공되었다.

▲봉미보 [보]
[위치] 봉미 마을 앞에 있는 보를 말한다.

▲봉현(鳳峴) [마을]
[위치] 사제울 동쪽 화봉산 밑에 있는 큰 마을을 말한다.

▲봉현골 [골]
[위치] 매지천에서 봉현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봉현들 [들]
[위치] 봉현골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봉현보 [보]
[위치] 사제2리 봉현마을 앞에 놓인 보를 말한다.

▲봉현앞들 [들]
[위치] 봉현 마을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부원식품 [산업]
[위치] 봉미 북쪽에 새로 생긴 식품회사를 말한다.

▲부천사(阜川寺, 富泉寺) [절]
[위치] 사제1리 무봉산 중턱 봉미 뒤에 있는 태고종 사찰을 말한다.
[내용] 신라말 경순왕 때(927-935) 백운선사가 창건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50년 전에 권치원이라는 처사가 창건하여 살고 있는데 밤중에 현몽하기를 백발 노인이 나타나서 절에서 10발자국을 걸어가서 파보라고 하여 파 보았더니 한 쌍의 금불상과 청기와장이 나왔고 거기에는 "개국 4년 10월 창건"이라고 적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청기와장에 "阜川"이란 글씨가 나와 절 이름을 부천사라고 하게 되었다. 그 후(1984년) 이영선 스님이 한국불교 태고종으로부터 주지 발령을 받고 불사를 하고 있다.

▲비야산 [산]
[위치] 등곡 마을 건너편 야산을 말한다.
[풀이] '비야'는 '뱀'에서 나온 말이다. '뱀'을 '비얌'으로 발음하여 비야산이 되었다고 추정된다. 문막읍 후용리의 비야동도 같은 이치이다.

▲사제감리교회 [교회]
[위치] 대사제 마을 가운데 있으며, 1953년에 유봉열씨가 세워 선교활동을 하고 있다.

▲사제울 [마을]
[위치] 사제초등학교가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사제리의 본마을로 사제면이었을 때는 본소재지였다. 하천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모래가 많이 있고 사금이 나온다 하여 지명이 사제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풀이] 모래가 많은 개울이란 뜻에서 사(沙)+개울>사개울>사재울>사제울로 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제울들 [들]
[위치] 사제울 앞 동쪽에 있는 넓은 들을 말한다.

▲사제제방 [제방]
[위치] 사제천에 길게 쌓아놓은 제방을 말한다.

▲사제초등학교 [학교]
[위치] 사제1리 537번지, 사제울 안쪽에 있다.
[내용] 1962년 3월 6일 개교하였으며 현재 3학급 약 30명의 학생이 있다.

▲삼밧골 [마을]
[위치] 무내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삼성이 [마을]
[위치] 사제울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옛날 한 유명한 지관이 이곳에 명당자리가 있다고 하여 세 번이나 돌아보고 갔다는데서 유래되었다. 풍수지리와 관련된 명당자리를 이르기도 한다.

▲삼성앞들 [들]
[위치] 삼성이 마을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상등곡 [마을] → 웃등골

▲상석배미 [들]
[위치] 후동 앞에 있으며 벼가 잘 자라는 상석 논자리를 말한다.

▲새마을 [마을]
[위치] 점촌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신촌이라고도 한다.
[유래] 6.25 이후 피난민들이 모여 새로 만든 마을이다.

▲새마을들 [들]
[위치] 새마을 앞에 있는 넓은 들을 말한다.

▲샘고개 [고개]
[위치] 팔포에서 광대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샘이 있어서 샘고개라 한다.

▲샘골 [골]
[위치] 머내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샛담 [마을]
[위치] 사제울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서낭당고개 [고개]
[위치] 뒷골에서 팔포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산마루에 서낭당이 있었기에 서낭당고개라 한다.

▲선바우 [바위]
[위치] 복솔 뒤에 서 있는 바위를 말한다.

▲송아골 [골]
[위치] 송아재 밑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송아재 [고개]
[위치] 사제울 서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가맛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쇠고개 [고개]
[위치] 요동 마을 뒤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일본인들이 고개에 쇠막대를 박아놓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수루니 [마을]
[위치] 머내 남쪽의 산골 깊이 있는 마을을 말한다. 수운동이라고도 한다.
[유래] 이 고을에는 물이 좋고 안개가 늘 끼어있다 하여 수루니 또는 수운동이라 한다.

▲수루니골 [골]
[위치] 수루니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송아재 북서쪽 밑에 있다.

▲수운동 [마을] → 수루니

▲수캐울 [하천]
[위치] 사제울 남쪽에 있는 하천을 말한다.
[유래] 대안리에서 내려오는 하천을 수캐울이라 하고 매지리에서 내려오는 하천을 암캐울이라 하는데 이 두 하천이 사제천으로 합류한다.

▲신선바위 [바위]
[위치] 배부른산 정상에 있는 바위들을 말한다.
[유래] 아득한 옛날 하늘에서 내려온 신선들이 바위에 앉아서 놀았다고 하여 신선바위라 한다.

▲신촌 [마을] → 새마을

▲신촌골 [골]
[위치] 삼성앞들 건너편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아랫담 [마을]
[위치] 봉미 아래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안골1 [골]
[위치] 골말 안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안골2 [골]
[위치] 머내 안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앞들 [들]
[위치] 봉미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앞보들 [들]
[위치] 광터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약과배미 [들]
[위치] 뒷골 앞에 있는 논을 말한다.
[유래] 약과 모양으로 생겨서 약과배미라 한다.

▲오룡골 [마을]
[위치] 청룡산 밑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오작골 [골]
[위치] 봉현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오천(梧川) [마을] → 머내

▲옻물 [샘] → 땀띠물

▲왁새올 [골]
[위치] 광터 마을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왁새풀이 많이 자라서 왁새골>왁새올이라고 한다.

▲요골 [골]
[위치] 요동교 남쪽 골짜기를 말한다.

▲요골 [마을]
[위치] 봉미와 골말 사이 요골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요동이라고도 한다.

▲요골보 [보]
[위치] 요동 앞 개울에 있는 보를 말한다.

▲요동(要洞) [마을] → 요골

▲웃담 [마을]
[위치] 봉미 위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웃등골 [마을]
[위치] 봉현마을 동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상등곡이라고도 한다.

▲원주시공용공동묘지 [묘]
[위치] 남원주가구단지가 위치한 곳에서 서쪽 산에 있다.

▲원주시광역쓰레기매립장 [시설]
[위치] 가맛골과 큰골2를 막아 만든 매립장을 말한다.
[유래] 1995년에 완공하였다.

▲원터버덩 [들]
[위치] 복수동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래] 예전에 원을 지었던 곳이라서 원터버덩이라고 한다.

▲작백이골 [골]
[위치] 큰담 안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작은고래골 [골]
[위치] 사제울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작은담 [마을]
[위치] 광터의 작은 마을을 말한다.

▲절골1 [골]
[위치] 팔포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전에 절이 있었다고 한다.

▲절골2 [골]
[위치] 점촌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점촌 [마을]
[위치] 등골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전에 옹기점이 있었다고 한다.

▲정상앗고개 [고개]
[위치] 광터에서 골말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중간담 [마을]
[위치] 봉미 중간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중부보 [보]
[위치] 요동과 호저면 만종리 중부사이의 개울에 놓여진 보를 말한다.

▲지루매기 [들]
[위치] 팔포 남쪽에 있는 밭을 말한다.
[유래] 밭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밭을 맬 때 지루하다고 하여 지루매기라 한다.

▲진골 [골]
[위치] 후동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골이 길어서 '긴골>진골'로 변하였다.

▲집골 [골]
[위치] 광터에서 광터소류지로 이어지는 골짜기를 말한다.

▲청룡산 [산]
[위치] 사제울 서남쪽 뒤에 있는 산을 말한다.
[유래] 비가 쏟아지고 개일 때면 마치 산의 형상이 청룡이 하늘을 향해 움직이고 있는 것 같아서 청룡산이라 한다.

▲초당고개 [고개]
[위치] 팔포에서 복수동으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전에 초당이 있었다고 한다.

▲칠성당 [당]
[위치] 무봉산 중턱에 있는 당을 말한다.

▲칠성당우물 [샘]
[위치] 무봉산 중턱에 있는 우물을 말한다.
[유래] 칠성께 기도를 올릴 때 이 물을 이용하므로 칠성당우물이라 한다.

▲코바우 [바위]
[위치] 요동 앞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사람의 코처럼 생겼기에 붙은 이름이다. 아들을 원하는 아낙네들이 코를 만지거나 바위를 갈아서 가지고 가면 소원대로 된다는 설이 있다.

▲코밭등이 [들]
[위치] 코바위가 있는 밭을 말한다.

▲큰고래골 [골]
[위치] 사제울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큰골1 [골]
[위치] 봉미와 무실리 사이에 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큰골2 [골]
[위치] 수은동 남서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가맛골 옆이며 현 원주시생활환경사업소 자리이다.

▲큰담 [마을]
[위치] 광터의 큰 마을을 말한다.

▲터논골 [골]
[위치] 골말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팔포(八浦) [마을] → 머내
[유래] 마을의 형상이" 八"字와 같다 하여 붙여졌다.

▲팔포교 [다리]
[위치] 무내와 복금동을 잇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5m, 너비 8m로 1990년에 가설하였다.

▲한개울 [내]
[위치] 사제울 앞의 큰 개울을 말한다.
[풀이] '한'은 '크다', '많다'의 뜻이 있어서 붙여졌다.

▲한개울골 [골]
[위치] 신촌들 서쪽 건너편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행가리재 [고개]
[위치] 복거리에서 무실동 행가리 마을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흥업면
  • 담당자 김사랑
  • 전화번호 033-737-5507
  • 최종수정일 2023.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