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이야기

기록보관소

아카이브>아카이브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한겨레 "육류 소비 줄여야 지구온난화 막을 수 있다"

영국 채텀하우스 보고서 등 육류 과다 소비 체제 위험 경고

환경단체 관계자 "먹는 것은 더이상 개인적 일 아니다"

(이미지출처 : http://img.hani.co.kr/imgdb/resize/2012/0409/1454073884_8000901393_20120409.JPG)

육류 과다 소비가 필연적으로 지구 기온을 위험수위로 높일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유럽전문매체 유랙티브는 최근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 등이 펴낸 보고서와 국제환경단체 ‘지구의 친구들’ 등의 자료를 인용, 28일(현지시간) 이같이 보도했다. 채텀하우스 등이 육류 및 낙농제품 소비와 기후변화 간 관계를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세계의 농토 약 3분의 1이 동물사료 재배에 사용되고 있다.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 밀 생산량의 45%가 사료로 쓰이고, 전체 사료의 30%는 수입되고 있다.
무엇보다 현 추세대로라면 세계 육류 소비는 2050년까지 지금보다 76%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가축 사육과 사료용 곡물 재배가 증가하고 이로 인한 환경문제가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과도한 수준의 육류를 소비하는 선진국의 경우 정점에 달해 증가세 자체는 정지한 상태다. 개도국에선 소득이 증가하며 단백질 공급원을 육류로 전환한 소비가 가파르게 늘어나고 있다.
채텀하우스 보고서는 “이는 환경 훼손이라는 대가 없이 지속가능하지 않은 일”이라면서 이대로 방치하면 지구 기온을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내 상승으로 억제한다는 유엔 목표 달성은 어렵다고 밝혔다.
가축 사육은 다른 식량생산에 비해 유한한 토지와 물 등의 자원을 매우 비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자 삼림벌채, 주거지 파괴, 생물 멸종 등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다.
예컨대 소고기 1kg 생산엔 물 617리터가 필요하다. 육류 대량소비는 결국 가축의 사육도 ‘공장식 대량생산’을 초래해 비인도적 사육환경과 항생제와 호르몬제 투여 등으로 이어진다. 또 가축은 소화·배설하는 과정에서 메탄가스를 배출하고, 목초를 기르기 위해 뿌리는 비료에선 질소산화물이 쏟아져 나온다. 농업은 EU 온실가스 배출량의 10%를 차지한다. 유럽환경청(EEA)에 따르면, 육류및 낙농제품은 EU 27개국 전체 상품 및 서비스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중 4분의 1을 차지한다.
전 세계적으로는 가축 사육과 사료 생산 과정에서 각각 30억t 이상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현재 세계 최대 육류소비국은 1인당 하루 평균 약 250g인 미국이다. 반면에 인도는 10g에 불과하는 등 가난한 나라의 소비량은 매우 적다 따라서 육류 대량소비에 따른 건강과 환경 문제는 주로 부자나라에 해당되지만 중국 등 경제가 급성장하는 개도국들과 무관한 일이 아니다.
지구의 친구들 유럽지부의 수석 식품 담당자 아드리안 베브는 “우리가 먹는 것이 더이상 개인적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육류 대량생산을 지양할 지속가능한 대안들이 있으며 이를 선순위 공공 의제로 올려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EU 집행위 대변인은 “농업은 온실가스의 중요 원천이기도 하지만 토양 순환과 바이오매스 등의 형태로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저장하는 기능이 있어 가후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고 해명했다.
채텀하우스 보고서도 육류 대량소비의 문제점이 과대평가된 측면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이와 관련된 환경 및 보건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 개선하려는 정책들을 적극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6년 1월 29일(금) 한겨레신문

기사원문보기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728582.html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