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변화이야기

기록보관소

아카이브>아카이브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대기오염 수치 기준치 이하로 '안전'해도 조기사망 위험↑

초미세먼지는 기준치 이하여도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사망 위험을 높인다.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실린 프란체스카 도미니치 교수 팀 논문에 딸린 설명 동영상 화면 캡처]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대기오염도가 공식 기준치 이하의 '안전'한 수준이더라도 조기사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프란체스카 도미니치 교수 팀은 오염이 심한 대도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결과들의 한계를 넘어 대기오염이 미국 전 지역 주민의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한 연구결과를 최근 내놓았다.

연구팀은 미국 취약계층 의료보호제인 메디케어 수혜자 전원을 대상으로 2000~2012년 거주지역 대기오염도와 사망률 간 상관관계를 추적 조사했다.

총 연인원 4억6천여만 명의 의료기록과 사망통계, 위성 관측자료와 환경청(EPA)의 모니터 자료 등을 이용해 미국 전국의 지역별 연평균 초미세먼지(PM2.5)와 오존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PM2.5가 입방미터당 10마이크로그램(10㎍/㎥) 늘어날 때마다 사망률이 7.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오존 수치가 10ppb 높아질 때마다 사망률이 1.1% 높아졌다.

연구팀은 이 기간 측정된 평균 PM 2.5 수치는 6.21㎍/㎥에서 15.65㎍/㎥까지 다양했는데 미국의 '대기 질 기준'(NAAQS)치인 연평균 12~15 ㎍/㎥보다 대부분 지역의 오염도가 기준보다 낮았으나 사망위험이 노출 정도에 비례해 높아졌다고 밝혔다. 또 연구 기간 하절기 오존 농도는 연평균 36.27ppb~55.86ppb로 환경기준치(70ppb) 보다 낮았음에도 오존농도가 높아질수록 사망자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체적으로 기준치 이하 초미세먼지와 오존으로 인한 미국인 사망위험 증가율을 13.6%와 1%로 평가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하버드대가 발행하는 보건의료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 최신호[http://www.nejm.org/doi/full/10.1056/NEJMoa1702747#iid=f02]에 실렸다.

한편, 한국은 현재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이 일평균 50㎍/㎥, 연평균 25㎍/㎥로 미국보다 2배 높고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치(일평균 25㎍/㎥, 연평균 10㎍/㎥)보다 훨씬 느슨하게 설정돼 있다. 오존 기준치 역시 선진국에 비해 느슨하다.

환경기준치 이하의 초미세먼지와 오존 농도라도 조기 사망위험을 크게 높인다.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실린 프란세스카 도미니치 교수 팀 논문에 딸린 설명 동영상 화면 캡처]

◇ 초미세먼지와 오존 = 미세먼지는 지름 10마이크로미터(㎛) 이하, 초미세먼지는 2.5㎛ 이하의 부유물질이다. 자동차 배출가스나 화석연료를 태우는 공장 매연 등에서 주로 나오는 초미세먼지는 1급발암물질로 분류돼 있다.

머리카락 굵기의 30분의 1도 안돼 호흡을 통해 폐와 기관지에 침투할뿐만 아니라 피를 타고 뇌 등 온몸에 확산돼 천식, 만성 폐 질환, 비염, 심장질환, 뇌졸중, 각종 암 등의 질병과 조기사망을 유발한다.

오존은 자동차와 각종 산업시설이 뿜어내는 질소산화물(N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이 자외선과 광화학반응으로 생성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가슴통증·메스꺼움·소화불량을 유발하고 폐활량 감소 뿐만 아니라 기관지와 폐질환, 심장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초미세먼지와 오존의 주 오염원은 자동차 배출가스와공장의 화석연료 연소 연기다. [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실린 프란세스카 도미니치 교수 팀 논문에 딸린 설명 동영상 화면 캡처]

choibg@yna.co.kr
 

 

출처: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01&aid=0009372347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