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정보마당 >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상세보기 - 호수, 제목, 내용, 파일, 년도, 월 제공
호수 300
제목 벼 무논점파, 3년에 한 번은 기계이앙재배하세요.
내용

벼 무논점파, 3년에 한 번은 기계이앙재배 하세요.

 

직파재배의 문제인 잡초성벼 70% 줄일 수 있어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벼 무논점파 재배 시 3년에 한 번 이앙재배 하면 잡초성벼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못자리가 없는 벼농사로 각광받고 있는 무논점파는 기존에 기계로 모를 심을 때보다 노동력을 최대 35%까지 줄일 수 있으며 10ha 160만원의 생산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하지만 무논점파는 기계이앙보다 잡초성벼 발생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잡초성벼는 일반 벼에 비해 성숙이 빠르고 벼 알이 잘 떨어지며 한번 발생한 논에서는 지속적으로 발생해 방제가 어렵다.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실험결과, 3년간 무논점파재배 한 논을 기계이앙재배 하면 전년도에 비해 잡초성벼가 7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잡초성벼를 방제하지 않고 직파재배를 연속해서 할 경우 3년 뒤에는 4배 이상 발생이 많았다.

 

농촌진흥청 답작과 손지영 박사는 무논점파재배의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잡초성벼를 효율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년에 한번은 기계이앙 재배하는 것이 좋다.”라고 전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에서는 쌀 생산비를 줄이는 무논점파 재배기술을 2008년부터 보급하기 시작해 2013년에는 12,193ha 정도로 확대 보급했으며, 현재 3% 정도의 재배면적을 앞으로 1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파일
년도 2014
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