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정보마당 >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상세보기 - 호수, 제목, 내용, 파일, 년도, 월 제공
호수 299
제목 식의약 시장에 도전하는 곤충
내용
식의약 시장에 도전하는 곤충
 
. 주목받는 곤충
 
지상최대의 동물군()
곤충이라 하면 단단한 껍데기에 2쌍의 날개와 6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현존하는 동물계의 70%를 차지하는 생물군이다.
? 화석에 의하면 이미 35천만년~4억 년 이전에 등장하였으며 동물 중에서 제일 많은 개체수와 종()수를 자랑한다.
워낙 종류가 많아 남극에서 북극까지, 바다에서 산꼭대기까지 살고 있지 않은 곳이 거의 없는 생물이다.
* 남극의 만년설 속이나 끓는 온천수 속, 동물 창자, 깊은 동굴, 심해까지 지구상 거의 모든 곳에서 서식
알려진 종류만 80만종 이상이며 대략 추정된 개체수로는 1,000경마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 보통 6개의 다리를 가진 것만 곤충으로 인정하며 지네, 거미 등은 엄밀한 의미에서 곤충이 아니다.
지네, 거미, 민물?바다의 작은 동물 등을 모두 곤충이라 부르지만 학문적으로는 육각아문( 脚亞門)에 속한 것만 진정한 곤충이다.

곤충의 잠재력은 무엇?빠르게 번식하며 많은 개체군을 이룬다는 것이 최대의 강점으로 생활습성, 고의서에서의 활용 등의 특징은 많은 분야연구자들에게 매력적인 소재농업뿐만 아니라 의약, 환경, 화학, 생명공학, 기계분야(생체모방) 등 기술 및 산업 분야에 새로운 연구주제로서 주목받고 있음특히 식충성(食蟲性)이라 하여 곤충을 식품으로서 먹어오던 습성은 현재에 와서 인류의 식량문제와 기아문제를 해결할 중요한 자원으로서 각광받고 있음

 
 
넓어지고 있는 곤충의 용도
지혜로운 선조들은 곤충의 유용함을 깨달아 섬유나 보조음식을 얻기도 했으나 사람과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주기도 하였다
? 비단실을 만드는 누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인 잠경(蠶經)에 의하면 기원전 2650년에 이미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있다.
* 중국 전설상의 인물인 황제 헌원씨의 부인이 시작하였다고 하나 유물등으로 미루어 볼 때 신석기시대부터 이용된 것으로 추정
? 벌꿀에 대한 기록은 기원전 7천년 경의 스페인 동굴벽화를 보면 알 수 있고, 기원전 3200년 전의 이집트에서도 매우 중요시되었다.
? 성경(Bible)이나, 중국, 우리나라의 오래된 문헌에 메뚜기류의 급작스런 대번식으로 인한 피해가 기록되어있따.
* 그 외 전염병의 2/3정도가 곤충에 의해 전파되며, 저장해놓은 식품을 먹어치워 다양한 가공과 보존방법이 발달하게 되는 등 다양하게 인간과 얽힘
20세기 이후 급속히 발달한 과학을 바탕으로 인간은 곤충의 새로운 가치를 계속 발견하여 다용도로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 페르몬을 이용한 해충 퇴치에 이용한 해충 퇴치, 천적, 화분매개, 곤충, 애완곤충 등으로 다각화되고 있다.
? 최근에는 생존을 위해 만들어낸 생리활성물질을 산업소재나 의약용으로 개발하거나 사료, 식품 등으로 이용하는 연구에 집중되고 있다.
 
곤충을 먹는 나라들
곤충을 먹거나 약으로 이용한 역사는 고대부터 이어져 전해지며, 이는 동서양의 고문헌과 성서에 다수 기록돼있다.
? 곤충을 먹는 풍속이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의 종교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메뚜기에 대한 언급이 많다.
? 동서양의 고문헌에 많은 종류의 식용 및 약용 곤충이 소개되어 있으며, 특히 중국의 경우 많은 사례가 있다.
중국의 곤충 식용의 역사는 3000년이 되고 그 종류도 178종에 달하며, 본초강목(1596)에는 106종의 곤충과 그 약효가 기록되어있다.
*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는 땅속에서 마지막 껍질이 벗겨지기 전의 매미 유충과 알이 찬 암컷이 가장 맛이 좋다고함(Historia Animalium)
 
곤충 식용의 역사를 지닌 나라는 아시아 29개국, 아프리카 36개국, 남아메리카 23개국, 오세아니아 등 다수이다.
? 곤충을 먹는 인구는 전 세계 25억 명에 이르며, 가장 많이 먹는 나라는 중국, 타이,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 등이다.
중국은 오랜 기간 곤충요리법이 발달하여, 곤충의 형태, 크기와 품질에 따라 지역별로 특색 있는 요리들이 발달되었다.
* 흑룡강성의 개미를 넣은 두부, 길림성의 누에 요리, 청해성의 동충하초 볶음, 강서성의 동충하초를 넣은 오리고기 등(www.earbug.com)
미국 유타 중 인디언은 일상적으로 메뚜기, 귀뚜라미를 먹었으며 새우를 바다 귀뚜라미라고 부름(‘04, Lockwood)
콜롬비아 북부지역 사람들은 수세기 동안 개미들을 식용해오고 있으며, 극장에 팝콘 대신 잎꾼개미를 즐겨먹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곤충이 주로 약재로 이용되어 왔고, 매미, 메뚜기 등 일부 곤충을 식용으로 이용한 기록이 있다.
? 동의 보감 탕액편 충부(蟲部)에는 95종의 약용 곤충이 소개되어 있으며, 질병 치료나 건강유지를 위한 민간약재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예로부터 1070년대까지 부족한 식량을 대체하기 위해 메뚜기, 매미, 딱정벌레 유충, 물방개 등을 구황식품으로 이용하여왔다.
최근까지 벼메뚜기와 누에번데기를 간식용으로 약간 이용하고 있으나, 일반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경우는 드문 실정이다.



파일
년도 2014
4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