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정보마당 >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상세보기 - 호수, 제목, 내용, 파일, 년도, 월 제공
호수 168
제목 마늘의 병해충 방제방법
내용

원주시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 과 농촌지도사 방길남(741 2575)

1.잎마름병

근 마늘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병 이다. 4∼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일반적으로 습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 하므로 배수에 유의하고, 살균제를 살포하여 병이 번지는 것을 막아야 한 다. 잎마름병이 심하면 광합성의 저하는 물론 수확말기까지 계속 번지게 되 어 저장중의 마늘쪽에 까지 감염되어 썩게되므로 포장에서의 방제가 매우 중요한 병이다.

4월 중순경부터 이프 로 수화제 또는 안트라콜 수화제에 전착제를 첨가하여 10∼15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또한 수확시에 피해 잎을 모아서 태우는 것이 좋으며 발병이 심 한 곳에서는 가급적 2∼3년간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좋다.

2. 춘부병

2∼4월에 걸쳐 발 생하지만 특히 해동기에 많이 발생한다. 아랫잎의 기부에서부터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처음에는 물 먹은 것 같이 물러지면서 아래 위로 확대되고 담황갈색을 띄면서 부패한다.

이어 비대인편 부분이 물렁무 렁하게 썩는다. 증상은 무름병과 비슷하지만 발 생의 시기가 빠르고 악취 가 없다는 것이 무름병과 구분이 된다.

기온이 상승하고 맑은 날씨 가 계속되면 병발생은 중지된다.

병원균은 토양중에 오 랜 기간 동안 생존하며 비가 올 때 빗물에 의해서 옮겨진다. 또 작업 중 식 물체에 상처가 나거나 해충이 가해를 하였을 때 감염되기 쉬우며 배수가 불 량한 저습지나 이어짓기를 오래한 밭에서 발생이 많다. 발생한 포기는 뽑아 서 처분하여야 한다.

<그림1> 춘부병 이 발생한 포장

3. 무름병

박테리아의 침입 으로 발생하고, 땅과 맞닿는 부분에서 주로 발병하여 각 부분으로 번지며, 방추형의 수침상 병반이 생겨서 점차 연화되며 부패된다. 이때 심한 악취 가 나고 발병부위를 중심으로 상하로 병이 번져 말라 죽는다.

발병이 되면 피해포기 는 즉시 뽑아 소각하고 아그렙토 500배액을 살포한다. 발병이 심한 포장은 이어짓기를 피하는 것이 좋다. 이 병균은 무, 배추, 양배추, 토마토

감자, 강남콩 오이 등에 피해를 주므로 이들 작물이 피해를 입은 곳에서는 재배를 하지 않는 것 이 좋다.

4. 탄저병

잎 또는 인편에 부정형의 암록색 혹은 흑색의 반점이 생기며 잎에 발생하면 잎의 끝부터 회 갈색으로 되어 마르고 그 부위에 흑색 소립이 밀생한다. 제일 바깥쪽의 인 편과 그 아래에 부정형의 암녹색∼흑색의 병반이 생긴다. 이 병반에는 작 은 흑색의 소립이 산재하여 있고 동심원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적당한 조 건에서는 병반상에 담홍색의 점질의 포자층이 생긴다. 잎에는 방추형의 회 백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며 이것이 합치게 되면 커다란 회갈색 방추형 병반 으로 된다. 병세가 진전된 병반의 중심부에는 작은 까만점이 밀생함과 동시 에 상부 엽신이 시들고 선단으로부터 회갈색으로 되어 말라 죽는다.

전 생육기간을 통하 여 발생하지만 저장중이나 수송중에도 발생한다. 균사, 포자의 형태로 마늘 통에 붙어서 생존하고 여기에 포자가 생겨 공기 전염한다. 발병지는 가능 한 한 연작을 피하도록 하고 맑은 날씨가 계속될 때에 수확하도록 한다. 마 늘통은 수확 후에 충분히 건조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저장고의 온도를 낮추 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발생이 예상되면 검은 무늬병, 잎마름병 등의 방제를 겸하여 만코지수화제, 프로피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5. 고자리 파리

마늘, 양파 및 파 등에 피해를 입힌다. 애벌레는 부패균을 옮겨주어 세균에 의해 기생하 는 기주식물을 부패하게 하고, 그 즙액을 빨아 먹으므로 직접, 간접으로 피 해를 준다.방제는 파종전에 후라단이나 모캡 등의 토양 살충제를 화학비료 와 섞어 밭 전면에 뿌리고 3월 중순부터 세빈, 디프테레스 등 살 충제를 2주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6. 선충

뿌리, 줄기, 잎 과 저장중인 마늘쪽에도 기생하고 있다. 마늘에 선충이 감염되면 뿌리부분 을 가해하게 되어 양분의 흡수가 불량해지고 잎이 누렇게 변하며 심하면 말 라 죽게 된다. 파종전에 토양 살충제를 뿌리고 씨마늘 소독을 철저히 한 다.

7. 뿌리응애

주로 마늘의 생장 점 부근의 뿌리발생 기부에 모여 집단으로 가해하는데 심할 경우 인편내부 까지 썩게 된다. 수확된 마늘의 종구 또는 땅속에서 겨울을 지나며, 온도 와 습도가 높은 고온 다습 조건에서 번식이 왕성하다.

< 그림2> 뿌리응애 피해증상

특히 산성토양을 좋아하기 때 문에 발생이 심할 경우 석회를 충분히 주어 산도를 교정해야 한다. 약제방 제로는 파종할 때 씨마늘소독을 철저히 하고 토양살충제를 살포하는 것도 효과가 있으나 종구를 통한 감염을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뿌리응애가 심하게 발 생된 포장의 마늘은 씨마늘로 이용하지 않도록 하고 불가피할 경우에는 씨 마늘용 마늘을 수확 즉시 뿌리를 칼로 깨끗이 도려내어 뿌리응애의 서식장 소를 제거하면 효과가 있다.

파일
년도 2003
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