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정보마당 > 농업정보자료실(월간치악농업) 상세보기 - 호수, 제목, 내용, 파일, 년도, 월 제공
호수 168
제목 활동시기가 빨라진 벼『물바구미』적기방제로 피해를 줄입시다.
내용 원주시농업기술센터 농업지도과 농촌지도사 조복경(741 2573)

년에는 예년에 비해 봄기온이 높아 겨울을 산에서 보내고 일찍 모를 낸 논으로 날아드는 벼 물바구미의 활동이 빠르고 발생이 많을 것 으로 보인다.

벼 물바구미 방제는 모내 는 날 상자처리를 하거나 모낸후 10∼15일경에 한 번만 잘 방제하면 피해 를 막을 수 있다. 이를 잘 실천하여 벼 물바구미 피해를 줄이도록 합시 다.

88 최초 발생 벼농사 초기에 발병

물바구미는 88년 에 경기도 시흥과 강원도 동해 ,경남 하동 ,경북 경주에서 발견 되었고 원주 지역에서는 1991 5 28 지정면 판대 1리에서 발생된 외래해충으로 최근 들어 벼농사 초기에 전지역으로 발생하는 해충이다 .

발생지역을 살펴보면 주로 산야가 많은 지역에서 발생이 심한 편이고, 상대적으로 산이 적은 지역에서는 발생이 적은 편이다.

산에서 겨울을 지낸 성충 이앙후 논으로 날아

물바구미는 성충 으로 산기슭 낙엽 땅속에서 겨울을 넘긴 산에서 주변의 잡초를 먹고 날개 근육을 발달시킨 들판에 모내기가 빠른 , 산에서 가까운 논에 집중적으로 날아들어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해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개 5 상순부터 7 상순까지는 이동을 하지만대부분이 5월중순∼하순 경에 이동하기 때문에 이때의 성충밀도가 가장높다 .

논에 날아든 성충 은 벼의 어린잎을 갉아먹은 다음 물속 잎집 (3cm부위 ) 알을 낳고 성충은 죽는다 .

⼑ 알에서 부화된 유충은 물밑 땅속의

뿌리로 내려가 뿌리속을 갉아 먹으면서 자라고 후에는 뿌리 속에서 나와 바깥쪽에서 뿌리를 갉아먹는다.

⼑ 그 후 번데기를 거쳐 7 ∼8월에 새로운 성충이 되어 다시 겨울을 지낼 산으로 날아간다.

뿌리를 갉아먹거나 잘라 새끼치 감소로 피해

물바구미의 성충 은 벼잎을 갉아먹으나 피해는 없고 , 유충이 땅속의 벼뿌리를 갉아먹거나 자르게 되어 새끼치기가 억제되어 줄기수가 감소하는 피해를준다 .

따라서 피해가 심한 논은 멀리서 보면 분얼이 안되고 생육도 나빠 군데군데 움푹하게 패인 모습을 보이며 이런 논의벼 포기를 뽑아보면 뿌리가 쉽게 뽑아지고 흰색의 유충을 있다 .

효과적인 방제 방법은 모내는 상자 처리를

가장 효과적인 방 제 방법은 모내는 기계이앙 직전에 육묘상자에 입제농약을 골고 루 살포 하거나, 이때 방제를 못한 경우에는 모를 본논 초기(10 15 경이 좋음) 논에 물을 대고 입제농약을 고루 뿌려 주는 것이 좋다

<생력형 상자처리 입제농약>

사용량 (30상자당 )

상자당

10a

가제트입제

36g

1kg

이앙전까지 사용

뉴명콤비, 카메바, 해오름입제

50g

1.5kg

이앙당일 육묘상처리

자스입제

50g

1.5kg

이앙당일까지 사용

미성상자탄입제

50g

1.5kg

이앙직전까지 사용

칼립소입제

50g

1.5kg

이앙당일까지 사용

리전트·리베로입제

50g

1.5kg

파종복토직후부터, 이앙당일까지 사용

신드롬입제

60g

2kg

이앙당일 육묘상처리, 비래최성기

마샬입제

60g

4kg

이앙당일 육묘상처리, 본답 발생초기

에카룩스입제

80g

3kg

이앙당일 육묘상처리, 비래최성기

상자처리의 잇점 : 농약이 모와 함께 흙속에 얕게 묻혀 약효를 높이고투입약량 과 방제 노력을 줄일수 있다 .

<본답 이앙후 약제처리 방법과 방제약제>

상자당

10a

바구왕

400g, 1kg

( 성충,유츙)최성기

트레본입제

1kg

( 성충,유충)발생성기

델타네트입제

2kg

( 성충,유충)최성기

대쉬입제

3kg

( 성충,유충)최성기

뚝심입제

3kg

비래 최성기

리전트·에쿠스입제

3kg

성충 발생초기

메가톤입제

3kg

이앙후 1012 수면처리

두레입제

4kg

( 성충,유충)본답초기

카보입제

80g

4kg

이앙당일,묘판·본답 발생성기및다발생기

마진액상수화제

140 160

성충 발생초기

오후나크비,저녁놀유제

140 160

성충 발생성기

박멸탄수면전개제

200

비래최성기 점적처리

영의정수면전개제

500

발생초기 수면처리

입제 농약을 뿌릴때는 논물을 3cm정도로 유지하여 흘러 넘치지 않도록 하고 , 상수원 , 양어장 등을 오염시킬 위험성이 있는 지역에서는 어독성이 낮은 약제를 선택하도록 한다 .

파일
년도 2003
5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최종수정일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