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감영
  • 문학도시 원주 > 공간 >
  • 강원감영

강원감영은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가 직무를 보던 관청이다.

조선왕조는 1395년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여 강원도라 하고, 강원도의 수부를 원주로 정하여 강원감영을 설치하였다.

강원감영의 건물들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1634년 원주목사 이배원(李培元)이 재건하기 시작한 후, 여러 목사와 관찰사들이 계속 건설하였다.

강원감영은 선화당을 비롯하여 포정루, 보선고, 내아, 비장청, 호적고 등 40여 동에 달하는 웅장한 모습으로 1395년부터 1895년까지 500년 간 강원도 역사창조의 중심역할을 하였으나, 1895년 조선 8도제도를 23부 제도로 개편함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1896년 이후 강원감영 건물은 원주 진위대 본부로 사용되었고, 1907년 진위대가 해산된 후에는 원주군청으로 사용되었다. 40여동의 화려한 건물로 이루어졌던 강원감영은 1895년 이후 대부분의 건물들은 없어지고 선화당을 비롯하여 포정루, 내아 등 몇 동의 건물만 남게 되었다.

강원도와 원주시는 500년 강원도의 수부로서 강원도를 관할하였던 귀중한 문화유산인 강원감영을 복원하기로 하고, 2000년부터 복원작업을 시작하여 2005년까지 선화당, 포정루, 중삼문, 내삼문, 내아, 행각 등 강원감영의 일부를 복원하였다.

강원감영은 2002년 3월 9일 사적 제439호로 지정되었다. 강원감영은 조선시대인 1395년 (태조 4)에 원주에 설치되었다. 감영은 조선시대에 각 도의 관찰사가 정무를 보던 청사로 원주, 전주, 평양의 감영을 제외하면 한곳에 계속 있지 않고 소재지의 변천과 도시화 등으로 그 본래의 형태를 찾아보기 어렵다. 강원감영지는 당시의 건물인 선화당(宣化堂), 포정루(布政樓), 청운당 등이 원래 위치에 남아 있고 중삼문지, 내삼문지, 담장지 등 관련유구가 보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원감영 이전의 원주목 관아의 건물지 등이 하층에 그대로 잘 남아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관아 건물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강원감영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 클릭
http://whm.wonju.go.kr/whm/page/view.php/sub_07_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