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야별정보

한지공예

지승공예

지승공예는 좁고 길게 자른 종이를 손으로 꼬아 만들고 그것을 다시 엮어서 여러 가지 기물을 만드는 것인데 이것을 지승 또는 지노라고 한다. 지승공예는 짜는 기법에 따라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무늬가 나온다. 따로는 색지나 검은색 물을 들인 종이를 함께 써서 무늬를 내기도 하였으며 굴곡이나 변화를 주어 갖가지 형태를 연출하기도 했다. 깨끗한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인쇄된 서책을 이용하였는데 먹 글씨가 자연스럽게 무늬를 이루게 되어 오히려 운치 있게 보였다. 질긴 닥지를 꼬아 만들어 여기에 기름을 먹이거나 주칠, 흑칠 등 옻칠을 하면 보존성을 높여 오래 사용할 수 있었다. 또 채색을 하여 아름답게 꾸미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헌책을 뜯어내어 이것을 이용해 지승 그릇을 만드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한 때는 소중한 서책을 함부로 다룬다 하여 지승 그릇을 엄금하였던 일도 있었다. 지승 공예품으로 망태기, 멜빵, 방석, 합자(盒子), 바구니, 화살통 등이 있고, 삼과 노역게를 섞어 짠 미투리며 옻칠을 하여 방수처리한 대야, 표주박, 쟁반, 돌상 바리때, 요갈 등 많은 종류가 있다.

방석 방석 반야심경 반야심경

지호공예

쓰다 버린 폐지나 글씨 연습을 한 학습용 휴지, 파지 등을 잘게 찢어 물에 풀어 녹인 다음 밀풀이나 찹쌀풀을 섞어 반죽하면 끈기 있는 종이죽이 된다. 이것을 만들고자 하는 그릇 골격에 조금씩 이겨 붙인다. 말리고 덧붙이기를 반복하면 딱딱하게 굳는데 마지막으로 골조를 떼어 내면 그릇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취미에 따라 바탕에 색지를 바르고 무늬를 장식하여 호화롭게 꾸미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옻칠을 하여 마무리를 하는데 이 때 들기름이나 콩기름을 먹어서 충해를 막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주로 반짇고리, 과반, 상자, 상 등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이 기법을 썼고, 그릇이 귀한 농가에서는 합, 함지, 표주박 등을 만들었다. 닥종이 인형, 종이탈 등도 지호기법으로 많이 만들었다.

지대야 : 오영재 지대야 : 오영재 민족의 혼Ⅱ : 오영재 민족의 혼Ⅱ : 오영재

지화공예(紙花工藝)

한지를 여러 겹 접어 다양한 형태로 꽃이나 새 등의 모양을 오려 만드는 기법이다. 주로 색한지를 사용하여 화려하게 만든다. 무속신앙, 민속놀이, 혼례용 꽃이나 어사화 등을 만들어 썼다. 궁내의 잔치 행사나 불교문화에도 많이 쓰였다.

해바라기 : 목민수 해바라기 : 목민수 옛생각 : 손계선 옛생각 : 손계선

지화공예(紙畵工藝)

한지 공예에서 물감을 사용하여 색지처럼 분위기가 나게 그려 준 것인데, 문양을 전지해서 붙이지 않고 직접 그려줌으로써 그 자연스러움이나 특별함이 더했다. 골격을 만든 후 오색지를 작품의 성격에 맞게 붙인 다음 물감(당채나 담채 또는 먹물)을 사용하여 문양을 그려서 마감했다. 주로 한지 위에 당초문, 민화 등을 그려 집안 문장식 등을 하거나 집안을 꾸몄다. 옛 작품 중에 다양한 기물들이 보이는 데 의거리장, 소품보관 반닫이, 갓집, 고비, 필통, 상자류, 반짇고리 등이 있고 이 밖에 여러 종류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다.

해바라기 : 목민수 해바라기 : 목민수 옛생각 : 손계선 옛생각 : 손계선

전지공예(剪紙工藝)

전지공예는 한지를 여러 겹 덧발라 만든 틀에 다양한 색지로 옷을 입힌 다음 여러 가지 무늬를 오려 붙이는 것으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전통 문화의 하나이다. 현재 남아 있는 종이 공예 중 오색찬란한 각종 색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전지 공예작품이 가장 화려하며 예술적인 감각과 그 실용적인 측면이 우수하다. 실용적인 생활 필수품의 기능과 장식적인 효과를 고루 갖추고 있는 전지공예는 아름다운 색채와 조형미, 그리고 선의 조화가 돋보이는 훌륭한 예술품이다, 반짇고리부터 시작하여 옷가지를 넣을 수 있는 농까지 생활 필수품의 대부분을 차지한 전지공예는 은은하면서도 오색찬란한 자연의 색을 우리의 안방에 그대로 가져다 놓아 우리 조상의 미적 세계관을 엿볼 수 있다. 전지공예기법으로는 종이를 여러 겹 발라서 만든 두터운 종이로 그릇 형태를 이루고 그 표면에 기름을 칠하거나 옻칠을 올려 완성하는 방법이 있고, 장, 농, 함 등 큰 기물을 만들 때 나무로 골격을 만든 다음 그 안팍에 종이를 두세 겹 바르는 목골지장기법이 있다. 그리고, 문양이 도드라지느냐 패이느냐에 따라 양각비법과 투각기법, 음각기법이 있다.

첫상 : 정순교 첫상 : 정순교 문갑 : 전현정 문갑 : 전현정 사각상자 : 정선희 사각상자 : 정선희 한지 항아리 한지 항아리

지장공예

나무로 골격을 짜거나 대나무, 고리 등으로 뼈대를 만들어 안팎으로 종이를 여러겹 발라 만다. 종이만 발라 마감하기도 하고 그 위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 마무리하기도 하였다.

예단함 예단함 숭숭이 반닫이 숭숭이 반닫이 구절판 구절판 팔각과반 팔각과반

기타 한지공예

소타는 아이들 소타는 아이들 추석 추석 시집가는 날 시집가는 날 설날 설날 여심 여심 옛 길 옛 길 조롱박 조롱박 강변 강변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문화예술과
  • 담당자 이화영
  • 전화번호 033-737-2932
  • 최종수정일 2024.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