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마을소식

작성일 2006.03.16 조회수 2001
귀래면-게시판 > 우리마을 소식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다중표시 제공
“황사” 대처는 이렇게...
작성자 유영민
 

“황사”대처는 이렇게...


황사가 발생하려고 하나요?

1. 가정에 계신다면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하세요.

  실내에서는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을 준비하세요.

  외출 시에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하세요.

  ►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에 넣으세요.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기상청에서 발표한 기상예보를 청취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휴교 또는 단축

  수업을 검토하세요.

  ► 학생들의 비상연락망을 점검하여 연락체계를 유지해주시고

  ► 휴교 조치시 맞벌이부부 자녀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자율학습을 하도록

     하세요.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황사 피해예방 행동요령을 지도·홍보하세요.

3. 축산․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야외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세요.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덮을 피복물을 준비하세요.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를 점검하세요.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하세요.

황사가 발생하였나요?

1. 가정에 계신다면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시고 외출 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시며 귀가 후에는 손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하세요.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공기정화기와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세요.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생선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요리하세요.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가공·조리 시 손을 철저히 씻으세요.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의 실외활동을 금지하고 수업단축 또는 휴교 조치를  취하세요.

실외학습, 운동경기 등을 중지하시거나 연기하세요

3. 축산․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야외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세요.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아 황사 유입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공기와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하세요.

노지에 방치․야적된 사료용 건초, 볏짚 등을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으세요.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으세요.

황사가 지나갔나요?

1. 가정에 계신다면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세요.

 황사에 노출되어 오염된 물품은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하세요..

2. 학교 등 교육기관에 계신다면

 학교의 실내·외를 청소하여 먼지를 제거하세요.

학생들의 건강을 살펴서 감기·안질환자 등은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시키세요.

황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하거나 식당 등에 대한 소독을 실시하세요.

3. 축산․시설원예 등을 하신다면

비닐하우스·축사 등 시설물, 방목장 사료조,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하거나 소독을 실시하세요.

 황사에 노출된 가축의 몸에 묻은 황사를 털어낸 후 소독을 해 주세요.

 황사가 끝난 후 2주일 정도 질병의 발생유무를 관찰하세요.

 구제역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가축이 발견되면 즉시 신고하세요.

황사 발생은 이렇게 확인하세요!

 TV나 라디오의 일기예보를 청취하세요

기상청(www.kma.go.kr), 국립수의과학검역원(www.nvrqs.go.kr)에서 확인하세요.

국번 없이 131(지역번호+131)번이나 기상청(02 841 0011 / 02 831 0365)

  국립수의과학검역원(031 467 1851)으로 전화해보세요

자료제공 : 소방방재청 방재대책기획팀 (TEL 02 2100 5411~18)

※ 소방방재청 홈페이지(www.nema.go.kr) “안전길잡이” 황사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귀래면
  • 담당자 조윤성
  • 전화번호 033-737-5506
  • 최종수정일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