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명유래

작성일 2016.11.28 조회수 1024
소초면-우리면소개 > 지명유래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내용, 파일 제공
흥양리(興陽里)
작성자 관리자
[위치]
흥양리는 소초면 남쪽에 있다. 동쪽으로는 치악산 줄기인 삼봉과 투구봉으로 막혀 있고 서쪽으로 원주시 태장동, 남쪽으로 원주시 봉산동과 행구동, 북쪽으로 수암리와 접하고 있다.

[유래]
원래 원주군 본부면의 지역으로서 흥양, 또는 이리(二里)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흥양리로 부르게 되었다. 흥양 마을의 이름을 따서 흥양리라고 하였다.


[연혁]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시탄, 황곡, 상초구, 송문, 직산을 병합하여 흥양리라 하여 원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38년에 소초면에 편입되었다.


[특이사항]
주민의 75%가 농업에 종사하는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원주시와 접경하고 있어 도시근교 농업이 발달되어 있다. 입석대와 입석사, 범문사가 있고 황골엿과 엿술이 특산물로 유명하다. 원주시와 접경을 이룬 관계로 급격하게 도시화되고 있으며 황골은 특히 근래에 숙박업소와 식당이 많아져서 원주시민들이 많이 찾고 있다.


[지명]
▲가마봉 [산]
[위치] 윗새두둑 위에 있는 산을 말한다.

▲건너말 [마을]
[위치] 직산들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구용소다리 [다리]
[위치] 흥양동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황골과 흥양리의 경계에 있다.

▲낙수봉 [바위]
[위치] 가마봉 위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삼봉 밑에 있다.

▲남자바우 [바위]
[위치] 윗새두둑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자지바우라고도 한다.
[유래] 남자의 성기를 닮아서 남자바위라 한다.

▲넝마루 [마을]
[위치] 사래울 소류지 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넝마루들 [들]
[위치] 넝마루 남동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노루고개 [고개]
[위치] 피미 북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노루고개 [마을]
[위치] 피미 북쪽, 노루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누룩바우 [바위]
[위치] 살여울 앞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누룩이 쌓여 있는 형상을 닮았다 하여 누룩바우라 한다.

▲대경사(大慶寺) [절]
[위치] 흥양리에 있는 암자를 말한다.

▲대바우 [바위]
[위치] 입석사 절 옆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입석대라고도 한다.

▲대알들 [들]
[위치] 사래울 북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대왕재 [고개]
[위치] 황골 옆 골짜기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유래] 태종 이방원이 쉬어갔다고 해서 대왕재라 부른다.
[특이사항] 4월 초파일에 당제사를 지내기 전에 제사를 지낸다.

▲도릿골 [골]
[위치] 살여울 앞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돌머루 [마을] → 돌모루

▲돌모루 [마을]
[위치] 흥양교 동쪽 황골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다. 돌머루, 석우(石隅)라고도 한다.
[유래] 큰 바위 모퉁이가 되어서 돌모루라 부른다.

▲뒷골1 [골]
[위치] 살여울 뒤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뒷골2 [골]
[위치] 윗새두둑과 아래새두둑 사이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뒷들 [들]
[위치] 윗황골과 아래황골 사이에 있는 들을 말한다.

▲뜀바우 [마을]
[위치] 사래울 서쪽으로 붙어있는 마을을 말한다.

▲마거리 [고개]
[위치] 아래새두둑 뒤에 위치한 고개를 말한다.
[유래] 옛날 말이 넘어오다 풀을 뜯던 고개라 하여 말거리>마거리라 한다.

▲맹골 [골]
[위치] 맹골산 남동쪽, 불근덕고개 동쪽 아래에 골짜기를 말한다.

▲맹골산 [산]
[위치] 태장동 구룡골 동쪽, 흥양리 사이에 있는 산을 말한다. 신애원 남쪽에 있다.
[특이사항] 신애원 쪽으로는 경사가 아주 급하고 불근덕고개 쪽으로는 완만한 편이다.

▲먹통바위골 [골]
[위치] 맹골 동쪽, 하우고개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무나무골 [골]
[위치] 아래새두둑 뒷 골짜기를 말한다.
[풀이] 물이 남아 돈다 하여 물남우>물나무>무나무로 변하였다.

▲무네미고개 [고개]
[위치] 흥양리에서 수암리로 가는 고개를 말한다.
[풀이] 예전에 물이 이 고개로 넘어왔다 하여 무너미>무네미로 부른다.

▲문수골 [골]
[위치] 상초구 위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문수암이 있었기에 문수골이라고 한다.

▲문수사터(文殊寺-) [터]
[위치] 문수골에 있던 절터를 말한다.
[내용] 마을사람들은 문수암(文殊庵)이라고 한다. 연혁은 알 수 없으나 산재한 기록에 의하면 조선 초기에 서거정이 여기에서 공부를 하였고 운곡 원천석의 시에도 문수사가 있어서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석불좌상이 남아 있으나 많이 훼손되었다.

▲분수암 [절] → 문수사터

▲바른골 [골]
[위치] 송문동 남쪽에서 송문산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반석교회 [교회]
[위치] 흥양1리 1259-12번지에 있는 장로교 교회를 말한다.

▲뱀사태머리골 [골]
[위치] 봉들 남쪽, 하우고개 북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번안터들 [들]
[위치] 직산들 남쪽 개울 건너에 있는 들을 말한다.

▲범골 [마을]
[위치] 아래새두둑에서 범골이 시작되는 곳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범골1 [골]
[위치] 황골과 새두둑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아래새두둑에서 들어간다.
[특이사항] 범문사가 있다.

▲범골2 [골]
[위치] 피미 남쪽, 흥양 서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범문사 [절]
[위치] 범골에 있는 절을 말한다.

▲병문거리골 [골]
[위치] 솔문안에서 유새로 들어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보들지 [못]
[위치] 초구앞들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보지바우 [바위] → 여자바우

▲봉들 [들]
[위치] 솔문안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봉사절터 [터]
[위치] 범골 낙수봉 밑에 있던 절터를 말한다.
[내용] 높이 1.5m 가량의 축대가 길게 남아 있으며 오른쪽 낭떠러지에도 축대가 남아 있다. 건물의 흔적이 비교적 뚜렷이 남아 있고 큰 우물도 있다. 기암절벽에서는 아직도 민간인들이 기도를 하고 있으나 봉사절터라는 이름만 전할 뿐 연혁은 알 수 없다.

▲불근덕고개 [고개]
[위치] 태장동 소리개골 동쪽에 있는 고개를 말한다.

▲사래울 [마을]
[위치] 돌모루에서 살여울 중간의 마을이다.
[풀이] '사래'는 논밭의 '골, 이랑'을 뜻하는데 밭골처럼 긴 마을이란 뜻이다. 또는 살여울에서 살여울>사려울>사래울로 변하였을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사래울골 [골]
[위치] 사래울 북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사래울못 [못]
[위치] 사래울 뒤쪽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산파바위 [바위]
[위치] 삼봉 바로 밑, 투구봉으로 가는 능선길에 있다.
[유래] 바위 사이가 좁아서 사람이 옆으로 겨우 빠져나올 수 있는 형국인데 이를 따서 산파바위라고 한다.

▲살여울 [마을]
[위치] 피미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시탄, 시탄동이라고도 한다.
[풀이] '살'은 화살을 말하고 '여울'은 물살이 세차게 흐르는 곳을 말한다. 개울물이 살처럼 급히 흐르므로 살여울이라 하였다.

▲삼봉(三峰) [산]
[위치] 치악산의 자락으로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쥐너미재에서 다시 북쪽으로 능선이 시작되는 첫 봉우리이다. 거기에 이어서 북으로 투구봉과 토끼봉이 있다.
[특이사항] 일제 때 혈을 끊기 위해 쇠말뚝을 박았다고 한다.

▲삼장골 [마을]
[위치] 가마봉 밑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삼화예식장 [회관]
[위치] 흥양리 1214-6번지에 있는 예식장을 말한다.

▲상보들 [들]
[위치] 흥양교 서쪽으로 나 있는 들을 말한다.

▲상초골 [골]
[위치] 하초구에서 상초구로 이어지는 긴 골짜기를 말한다.

▲상초교 [다리]
[위치] 피미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1m, 너비 4m이다.

▲상초구(上草邱) [마을] → 윗새두둑

▲상초1교 [다리]
[위치] 아래새두둑에 있는 다리이다.

▲새두둑 [마을]
[위치] 피미 동쪽에 있는 마을로 투구봉의 동쪽 아래에 있다. 초구리(草邱里)라고도 한다.
[유래] 억새가 많은 둔덕이라고 해서 새두둑이라고 불렸다. 그것을 한자어로 초구(草邱)라 하였다.
[특이사항] 흥양리에서 가장 넓은 곳에 있는 마을이다.

▲새마을담 [마을]
[위치] 위새두둑 동쪽 위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새말 [마을]
[위치] 흥양리에 새로 생긴 마을을 말한다. 신촌이라고도 한다.
[유래] 새로 생긴 마을이라고 해서 새말이라고 한다.

▲새보들 [들]
[위치] 흥양교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새재 [마을]
[위치] 피미 동남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석우(石隅) [마을] → 돌모루

▲소새바우 [바위] → 쇠새바우

▲솔문안 [마을]
[위치] 흥양교 남쪽 42번 도로변, 유새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송문동(松門洞)이라고도 한다.

▲솔문안들 [들]
[위치] 솔문안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송문교(松門橋) [다리]
[위치] 솔문안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송문동(松門洞) [마을] → 솔문안

▲송문산 [산]
[위치] 유새 남쪽에 있는 높이 268m의 산을 말한다.

▲송문천 [내]
[위치] 솔문안, 유새에서 봉들로 흐르는 내를 말한다.

▲쇠새바우 [바위]
[위치] 살여울 앞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소새바우라고도 한다.
[유래] 모양이 쇠새(소의 머리, 소의 혀, 물총새)처럼 생기었다 하여 유래하였다.
[내용] 원주 이씨 시탄파의 집안에 손님이 많아 그 며느리들이 힘들어 하자 지나가는 중이 이 바위를 가르면 손님이 안 온다하여 바위를 가를 때 피가 났다고 한다.

▲수리바우 [바위]
[위치] 입석대 뒤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유래] 모양이 수리처럼 생겨서 수리바위라 부른다.

▲시탄(矢灘) [마을] → 살여울

▲시탄동(矢灘洞) [마을] → 살여울

▲시탄저수지 [못]
[위치] 살여울 뒤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신선대(神仙臺) [바위]
[위치] 입석대 남쪽에 있는 높이 20여m의 바위를 말한다.
[내용] 치악산 산신령이 이 물을 즐겨 마셨다고 하여 해마다 산신제를 지낸다고 한다. 신라 때 의상대사가 이곳에 토굴을 짓고 수도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신선대약수 [샘]
[위치] 입석대 맞은 편 신선대에 있는 약수를 말한다.

▲신촌(新村) [마을] → 새말

▲신현동(新峴洞) [마을] → 새재

▲아래새두둑 [마을]
[위치] 윗새두둑과 범골 사이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아래황골 [마을]
[위치] 흥양초등학교에서 동남쪽으로 있는 황골의 아랫마을이다.

▲안골 [골]
[위치] 상초골 동쪽 안으로 들어간 골짜기를 말한다.

▲양지말 [마을]
[위치] 사래울 동쪽 기슭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여자바우 [바위]
[위치] 살여울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보지바우라고도 한다.
[유래] 여자의 성기를 닮아서 여자바위라 한다.

▲왼골 [골]
[위치] 새마을담에서 북동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원증거리고개 [고개]
[위치] 살여울에서 수암리 원증거리로 넘어 가는 고개이다.
[내용] 흥양리와 수암리의 경계가 된다.

▲원통재 [고개]
[위치] 황골과 횡성군 강림면을 잇는 고개로 치악산 능선을 넘는다.
[유래] 태종 이방원이 원천석을 찾다가 못 찾아 쉬면서 "못 찾아 원통하다"고 해서 유래하였다 한다.

▲윗황골 [마을]
[위치] 흥양초등학교에서 동남쪽으로 있는 황골의 윗마을을 말한다.

▲유사(裕舍, 流沙) [마을] → 유새

▲유새 [마을]
[위치] 피미 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처음에는 유사(流沙)라 하였는데, 뜻이 좋지 않다 하여 '유(裕)'자로 고쳤다고 한다.

▲유새고개 [고개]
[위치] 유새에서 작두골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송문산에 있다.

▲유새들1 [들]
[위치] 유새 서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유새들2 [들]
[위치] 샛골 안쪽, 유새고개 아래에 있는 들을 말한다.

▲육문이골 [골]
[위치] 바른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음달말 [마을]
[위치] 사래울 건너편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남쪽으로 산을 등지고 있어서 응달이 지므로 음달말이라고 한다.

▲입석골 [골]
[위치] 황골 동쪽 입석사로 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내용] 입석대(立石臺)와 입석사(立石寺)가 있다.

▲입석대(立石臺) [바위]
[위치] 입석사(立石寺) 앞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대바위라고도 한다.
[내용] 주변에는 노송이 있으며, 바로 앞에는 신라 때의 것으로 추정되는 3층 석탑이 있고, 약 30여 미터 떨어진 곳에는 마애여래좌상이 있다. 또 골짜기 맞은 편에는 산신제를 지내는 신선대라는 절벽이 있다. 立石의 높이는 약 20m, 가로 세로가 약 5m되는 네모꼴의 석주와도 같은 것이 30m가량 되는 절벽 위에 우뚝하게 서 있다.

▲입석사(立石寺) [절]
[위치] 윗황골 동쪽 입석골, 치악산 능선 밑에 있는 조계종 사찰을 말한다.
[내용] 입석사의 이름은 입석대에서 따온 것으로 생각된다. 절의 자세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이곳 절 뒤 토굴에서 수도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원래 입석사는 입석대에서 원주쪽으로 1km정도 떨어진 곳에 암자로 있었는데 현재 위치에 신축한 것이라고 한다. 옛 절터에 있던 폐석재들을 모아 높이 2.2m의 청석탑 1기를 세웠는데 옥개석 5개중 3개에 연화문이 새겨져 있어서 통일신라 때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입석암(立石岩) [바위] → 입석대

▲자지바우 [바위] → 남자바우

▲작골 [골]
[위치] 유새고개 동쪽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작은 골짜기라서 작골이라 한다.
[풀이] 작(小)+골>작골이 되었다.

▲작두골 [골]
[위치] 새보들 남동쪽으로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절골 [골]
[위치] 황골에서 입석사로 들어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중보들 [들]
[위치] 피미 서쪽, 노루고개 아래에 있는 들을 말한다.

▲쥐너미재 [고개]
[위치] 범골에서 도실암골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한다. 북쪽으로는 삼봉과 투구봉, 토끼봉 능선이 있다.
[유래] 쥐떼가 넘어간 고개라 하여 쥐너미재라고 한다.
[전설] 옛날 범골에는 범사(凡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쥐가 너무 많아 스님들이 쥐등살에 견디지 못 하고 절을 떠났다고 한다. 하루는 그 많은 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줄을 지어 범사를 떠났는데 그 후로는 이 범사를 찾는 사람이 없어졌고 절은 폐사되었다고 한다.

▲지역골 [골]
[위치] 새보들 동쪽으로 나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직산1교 [다리]
[위치] 흥양초등학교 아래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내용] 길이 15m, 너비 8m로 1996년에 가설하였다.

▲직산동(稷山洞) [마을] → 피미

▲직산들 [들]
[위치] 피미 남쪽에 있는 들을 말한다.

▲진새양지산 [산]
[위치] 사래울 동쪽에 있는 높이 307m의 산을 말한다.

▲질재골 [골]
[위치] 새재 너머의 골짜기를 말한다.

▲짓골 [골]
[위치] 살여울 앞에 있는 골짜기를 말한다.

▲짓골고개 [고개]
[위치] 짓골에서 유새로 가는 고개이다.

▲초구리(草邱里) [마을] → 새두둑

▲초구앞들 [들]
[위치] 윗새두둑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큰쇠파니골 [골]
[위치] 흥양에서 남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파발골 [골]
[위치] 유새에서 남동쪽으로 난 골짜기를 말한다.

▲피미 [마을]
[위치] 새두둑 서쪽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유래] 마을 앞에 조그마한 동산이 있는데, 옛날 전란 때 노적더미로 가장하여 적병을 물리쳤다고 한다.
[풀이] '피'는 옛날에는 벼 대신에 구황작물로도 쓰던 일종의 곡식이다.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것이다. 즉 피(稷)+뫼(山)>피뫼>피메>피미가 되었다. 뜻은 '피가 많은 산', '피농사를 짓던 산' 또는 전설과 연관시켜 '피짚으로 덮은 산'이 될 것 같다. '피'가 들어가는 지명에는 대체로 피를 많이 흘렸다거나 전쟁과 관련시켜서 해석하는 수가 많은데 이처럼 곡식의 일종인 피와 관련된 것도 많다.

▲하우고개 [고개]
[위치] 송문동과 소일을 잇는 고개를 말한다.

▲하초구(下草邱) [마을] → 아래새두둑

▲하초구 저수지 [못]
[위치] 아래새두둑 뒤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황곡(黃谷) [마을] → 황골

▲황곡동(黃谷洞) [마을] → 황골

▲황골 [골]
[위치] 피미에서 입석대까지 이르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유래] 골짜기가 커서 황골이라고 한다.
[풀이] 황골은 골짜기 색깔이 노랗다는 뜻이 아니라 크다는 의미의 한+골> 한골>항골>황골로 변천된 것이다. 따라서 큰 골짜기를 말한다. 실제로 황골은 아래황골, 윗황골로 나뉠 만큼 큰 골짜기이다.

▲황골 [마을]
[위치] 새두둑 남동쪽 큰 골짜기에 있는 마을을 말한다.
[내용] 아래황골, 윗황골로 나뉘며 동으로 입석골, 입석사로 통하고 남으로는 행구동으로 통한다. 현재는 특산품으로 옥수수엿이 유명하고 음식점과 여관이 많이 들어서 있다.

▲황골못 [못]
[위치] 윗황골 남쪽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흔들바우 [바위]
[위치] 쇠새바우 옆에 있는 바위를 말한다.

▲흥양(興陽) [마을]
[위치] 직산 동남쪽, 아래황골로 가는 길에 있다.

▲흥양교1 [다리]
[위치] 흥양리 돌머루 입구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흥양교2 [다리]
[위치] 아래새두둑 앞에 있는 다리를 말한다.

▲흥양교회1 [교회]
[위치] 흥양4리 871-4번지에 있는 장로교 교회를 말한다.

▲흥양교회2 [교회]
[위치] 흥양2리 871-4번지에 있는 성결교 교회를 말한다.

▲흥양동(興陽洞) [마을] → 흥양리

▲흥양들 [들]
[위치] 흥양 앞에 있는 들을 말한다.

▲흥양초등학교 [학교]
[위치] 흥양리 883번지, 돌머루와 새두둑 중간에 있다.
[내용] 1940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6학급에 약 110명의 학생이 있다.

▲흥양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유치원]
[위치] 흥양초등학교 내에 있다.
[내용] 1985년에 설립하였다. 현재 원생 약 20명이 있다.


[유물 유적]
[입석대 마애보살상]
황골 입석대 경내, 입석대 북서쪽으로 200m 지점 암벽에 있는 마애보살상으로 높이 83㎝, 넓이 80㎝ 크기이며 깎아진 암벽에 조형한 것이다. 언제 누구의 솜씨로 조각되었던 것인지에 대하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오랜 세월에 비바람에 씻기고 닳아서 흐릿하게 선만 남아있을 뿐이고 더군다나 바위 옷이 끼어 확실하지 않은 상태이나 연대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전해진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소초면
  • 담당자 정선영
  • 전화번호 033-737-5583
  • 최종수정일 2024.03.21